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에서는 경기도당굿의 도살풀이장단과 정가나 잡가의 도드리장단, 그리고 판소리 엇중모리장단의 말붙임새를 살펴봄으로써 한국 전통 성악곡 장르 중 6박 계통 악곡의 특성과 말붙임새의 친연성 및 특장점을 검토하였으며, 나아가 초중등 음악교과서 교재 개발 및 가사 창작을 위한 활용 방안을 제안해보았다. 경기도당굿에서 사용하는 도살풀이장단은 6박계통의 장단 중 가장 지역성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장단의 구조적 특징은 가사가 2소박2박을 단위로 붙되 마지막 두 박은 채우지 않으며, 노래에서 변화를 줄 경우에는 “2+2소박//2+2소박//2+2소박”의 구조를 도살풀이춤에서 혼용하는 “3+3소박//3+3소박”의 자진굿거리로 바꾸어 강세의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노래에 집중하게 하거나 단조로움을 덜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대체로 도살풀이장단의 말붙임새를 유지하였다. 3소박6박의 도드리장단으로 부르는 12가사과 12잡가는 대체로 4․4조의 노래말을 2장단에 배치하되 1~6장단까지 다양하게 붙여 부르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박을 늘려 붙여놓았다 하더라도 말붙임새는 3박+3박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간혹 3+3박의 말붙임새에서 벗어나 2+2+2박으로 변화를 준 경우도 있으나 박을 늘리는 것에 집중한 결과 말붙임새의 변화에는 관심을 두지 않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판소리에서 사용하는 엇중모리의 말붙임새는 기본적으로 3+3박이다. 그러나 살펴본 판소리 마무리 대목에서는 2+2+2박의 말붙임새가 많이 쓰였다. 그리고 3+3박의 말붙임새를 쓰는 경우에도 “2+2+2소박//2+2+2소박”이 아닌 “3+3소박//3+3소박”의 3소박4박자 형태가 쓰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4박 위주의 국악 교육에서 나아가 6박 계통 장단 악곡의 이해를 통해 전통음악의 다양한 박자와 말붙임새를 이해하고 음악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할 필요가 있다.


In this article, by examining the lyrics attached to the rhythm of the dosalpuri jangdan(rhythmic pattern), the dodri jangdan of the Jeongga and Japga, and the eotjungmori jangdan of the Pansori,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them, the characteristics of 6-bak(beat) rhydmic pattern songs among the Korean traditional vocal music genres are investigated. In addition, I proposed a plan to use it for the development of music textbooks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and the creation of lyrics. The dosalpuri jangdan used in Gyeonggi Dodanggut is said to have the strongest locality among the 6-beat rhythms.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 of this rhythm is that the lyrics are added in units of 2 sobak(small beat) and 2 bak(beat), but the last two beats are not filled in. By changing the structure of “2+2+2+2+2+2” to the structure of “3+3+3+3”, the position of the stress was changed to focus on the song or reduce monotony. In the 12 Gasa and 12 Japga sung in Dodri-jangdan, 4 and 4 song words are usually arranged in 2 jangdans, but you can see that they are sung in various ways up to 6 jangdans. Also, there are cases where a change was made from 3+3 beats to 2+2+2 beats, but as a result of concentrating on increasing the beats, it can be inferred that they are not paying attention to the changes in the phrasing. Eotjungmori used in pansori is basically 3+3 beats. However, in the closing part of the pansori we looked at, the lyrics were often used in the form of 2+2+2 beats. And even when using the 3+3 bak of the lyrics attached to the rhythm, you can see that the 3 sobak 4 beat form of “3+3 sobak//3+3 sobak” is used instead of “2+2+2 sobak//2+2+2 sobak” This understanding of 6-beat rhythmic music suggests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raditional music education centered on 4-beat music. It will be important to develop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utilize the various beats and lyrics attached to the rhythm of Korean mus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