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오늘날의 학교교육에서 민요교육의 필요성과 위상을 보편타당하게 정립하기 위한 방안으로 문화교육의 관점을 제안하고, 문화교육의 접근에 따라 민요교육의 방향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교육적 접근에 따라 민요교육을 설계해야 할 필요성을 ‘문화적 산물로서 민요를 바라보는 관점의 확대’, ‘문화교육의 적용을 통한 민요의 본질적 이해 제고’, ‘문화교육에 기초한 민요교육의 지속성 및 역할 제고’의 세 가지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이와 같은 필요성에 따라 문화교육의 관점에서 민요교육의 방향을 다음과 같이 탐색해 보았다. 첫째, 민요의 연행 맥락을 바탕으로 인간 삶의 보편성과 문화 다양성을 인식하도록 민요교육을 설계해야 한다. 둘째, 민요의 사회․문화적 맥락에 내재된 전통적 가치를 현대적 관점에서 수용하고, 전통과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는 방향으로 민요교육을 구조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민요가 지닌 과거의 전통성에만 가치를 인식하게 하는 현 교육 실태를 개선하기 위해 ‘과거-현재-미래’의 통시적 관점에서 민요의 가치를 탐색하는 것으로 관점을 확장해 나가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문화교육으로서 민요교육의 가능성을 확인하고, 민요교육 차원에서 보완해야 할 점들을 살펴볼 수 있었다. 앞으로 문화교육으로서 민요교육이 구체화되기 위해서는 학교급별 내용 구성과 교수․학습 방법의 활용 방안이 함께 논의될 필요가 있다. 더불어 차기 교육과정에 따라 음악교과서를 개발할 때, 민요교육 내용에 문화교육의 관점을 적극 반영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본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culture education’s point of view as a method of establishing folk song education’s universal status and necessity in today’s school education and explore folk song education’s direction with culture education’s approach. This study considers the necessity to design folk song education with culture education’s approach in three aspects: ‘Expansion in viewpoint on folk songs as products of culture’, ‘improvement in essential understanding of folk songs through applying culture education’, and ‘improving folk song education’s sustainability and role based on culture education’. Recognizing such necessities, this study explores folk song education’s direction in culture education’s point of view as follows: First, folk song education shall be designed based on performance context of folk songs to form awareness of cultural diversity and universality of human life. Second, folk song education needs to be structuralized in a way that cultivates abilities to accept traditional values inherent in sociocultural context of folk songs in modern viewpoint and to interact with traditions. Third, to improve current education that enables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values only, a wider perspective is needed, and folk songs’ values shall be explored in diachronic point of view of ‘past-present-future’. This study confirms folk song education’s potential as culture education and explores defects of folk song education that require supplementation. To further realize folk song education as culture education in the future, more discussions are needed on contents for each school and class as well as application plan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urthermore, in developing textbooks according to future curriculums, it is suggested that efforts are made to actively apply culture education’s point of view to folk song education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