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영상 콘텐츠 이용행위가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전체방송에서 클립동영상으로 변화하는 시점에서, 이용자들의 방송클립동영상 이용행태, 만족도를 세분화하여 분석했다. 방송클립동영상 주시청층인 10~30대를 대상으로 관계적 측면, 사회적시청 동기, 능동적 시청행동을 통해 만족도와 이용행태를 탐색했다. 분석결과, 방송클립동영상 시청 장르는 예능이 가장 많았으며, 연령대가 낮을수록 사회적 시청의 3가지 분류에서 모두 높은 선호도를 보였고, 전반적으로 사회적 시청 중 오프라인 확산 행위의 선호도가 가장 높았다. 그리고 관계적 측면에서는 외로움이, 사회적 시청 동기에서는 의견 주장 및 확인, 정서적즐거움, 시청현장감 공유, 능동적 시청행동은 4가지 하위변인이 모두 방송클립동영상 시청만족도에 영향을 주었으며, 이용형태(보완적/대체적)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은 차별적으로나타났다. 본 연구는 방송클립동영상의 만족도와 이용행태를 살펴보기 위해 관계적 측면, 사회적시청 동기, 능동성 시청행동을 통해 설명함으로써 방송클립동영상에 관한 연구범위를 확장시켰다는데 의의가 있다.


In today’s media environment, the form of watching TV shows is changing from offline to online and from broadcast clip video to broadcast clip video. For this reason, this study started with the purpose of analyzing users’ behavior of using broadcast clip videos, satisfaction, and viewing behavior by segmenting them. We explored the satisfaction and viewing behavior of users in their 10s to 30s who are the main audience of broadcast clip videos through relational aspects, social viewing motivation, and active view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analysis, entertainment shows were the most common genre of watching broadcast clips, the lower the age group, the higher the preference in all three categories of social viewing, offline diffusion was the most favored among Social Viewing. Loneliness, Argument & confirmation of opinions, emotional pleasure, sharing viewing experience, and active viewing behavior have influenced the satisfaction of watching broadcast clip videos. Also, we have identified different factors affecting viewing patterns(substitution/supplement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panded the scope of research on broadcast clip vide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