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COVID-19의 전 세계적인 확산으로 비대면 활동이 보편화됨에 따라 지금까지의 대면식 도시재생 정책이 COVID-19 시대에 적합한지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특히 COVID-19 시대에 대응하여 쇠퇴지역에 대해 새로운 관점에서 도시재생 정책의 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혼합(질적·양적) 방법론을 바탕으로 감염병에 대응한 도시계획의 변화를 살펴보고, COVID-19에 따른 도시공간 유형별 탄력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코로나19와 같은 외부적 충격발생시 도시공간 유형별로 견고성 및 신속성 관점에서 상이한 소비회복력 특성이 나타났다. 첫째, 쇠퇴지역의 소비회복력이 비쇠퇴지역 보다 상대적으로 취약하게 나타났다. 둘째, 녹지·공업지역의 소비회복력이 상업·업무 및 주거·상업 지역보다 견고하게 나타났다. 셋째, 상대적으로 규모가 큰 도시계획사업이 진행된 지역의 소비회복력이 소규모로 진행된 정비사업 지역보다 높게 나타났다. 종합하면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은 도시공간의 불평등에 따라 피해정도가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쇠퇴지역에서 감염병 및 각종 재난·재해에 대응하기 위해서, 도시공간 유형별 소비회복력 특성을 고려한 도시정책 방향 정립이 필요하다.


As non-face-to-face activities become common due to the global spread of COVID-19, discussions are actively underway on whether the current face-to-face urban regeneration policy is suitable for the COVID-19 era. Especially in response to the COVID-19 era, it is time for a shift in urban regeneration policy from a new perspective for declining areas. Thus, this study examined changes in urban planning in response to infectious diseases based on mixe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ologies and conducted an evaluation of elasticity by urban space type according to COVID-19. This study shows different consumption resilience characteristics in terms of robustness and rapidity for each type of urban space in the event of external shocks such as Covid-19. First, the consumption resilience of declining areas is relatively weaker than non-declining area. Second, that of green areas and industrial areas is stronger than commercial·business, residential·commercial areas. Third, that of the relatively large urban planning project was higher than that of the small-scale maintenance project. In total, the impact of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VID-19 varies depending on inequality in urban space. Therefore, in order to cope with infectious diseases and various disasters in declining area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urban policy directions considering the consumption resilienc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urban space derived from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