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청소년의 청력손실 예방교육이 매우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청소년 스스로가 청력손실의 원인에 대한 지각과 예방을 위한 행위를 수행하거나 학생들과 가장 밀접한 소통을 하는 일반 교사가 소음성 청력손실의 심각도와 예방 수칙을 학생들의 생활 지도에 접목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현장에서 청소년과 많은 시간을 접하는 교사들의 소음성 청력손실의 발생원인 및 청력 저하 예방에 관한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방법: 중ㆍ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일반교사 151명의 설문조사를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0문항, 개인음향기기 이용실태 10문항, 청력손실 특성 및 원인 인식 15문항, 청력손실 예방 인식 2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청력손실 특성 및 원인 인식과 청력손실 예방 인식 문항은 Likert 5점 척도로 응답하도록 하였다.결과: 청력손실 특성 및 원인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청력손실의 특성과 원인에 대한 인식은 비교적 높았으나, 청력손실 관리와 교육청각학에 대한 인식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청력손실 예방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청력손실 예방 방법, 청력보호구 사용, 청력손실 예방교육에 대한 인식이 전반적으로 낮았다. 청력손실에 대한 일반적 특성과 원인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청력손실 관리 및 예방과 청력보호구 사용에 대한 인식도 높았다. 교사들의 청력손실 관리와 교육청각학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청력보호구 사용과 청력손실 예방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도 높았다.결론: 교사들의 청력손실 특성 및 원인과 청력손실 예방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행ㆍ재정적 지원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Purpose: Training for the prevention of hearing loss in adolescents is critical.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eachers’ perception of the causes and the prevention of noise-induced hearing loss in adolescents. Methods: A survey of 151 general teachers working in middle and high schools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10 questions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10 questions on the actual use of personal acoustic devices, 15 questions on the characteristics and causes of hearing loss, and 20 questions on the perception of hearing loss prevention. Results: The perception of the characteristics and causes of hearing loss was relatively high, but the perception of hearing loss management and educational audiology was low. Through analyzing perceptions of hearing loss prevention, it was found that the perception of hearing loss prevention, the use of hearing protection devices, and hearing loss prevention education were generally low.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causes of hearing loss,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hearing loss management and prevention, and the use of hearing protection devices.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hearing loss management and educational audiology,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the need for hearing protection and hearing loss prevention education.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and strengthen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to improve teachers’ understanding and awareness of the characteristics and causes of hearing loss, and the prevention of hearing lo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