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본 연구는 한국 청소년 말더듬 검사(Korean Adolescents Stuttering Test: KAST, Shin et al., 2019)의 인지․정서 영역의 평가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방법: 말더듬 청소년의 인지․정서 평가로 의사소통태도 체크리스트와 말하기상황 체크리스트 문항을 개발하고 유창성장애 전문가 7인으로부터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개발한 평가와 선행연구에서 개발한 불안 검사(Shin et al., 2019)를 말더듬 청소년 10명과 일반 청소년 10명을 대상으로 예비 검사를 실시하였다. 문항변별도와 집단 간 평균비교로 문항분석을 실시하여 문항을 수정 또는 제거하였다. 수정된 인지․정서 평가의 내적일치도, 집단 간 독립 t-검정, 평가 간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결과: 말더듬 청소년의 의사소통태도 평가를 위하여 23문항, 말하기상황 체크리스트를 37문항 개발하였다. 전문가 내용타당도 결과 CVI가 .8 이하로 나타난 문항을 수정 또는 제거하여 각 21문항, 35문항으로 수정하였다. 문항분석 결과, 의사소통태도 체크리스트는 21문항 모두 문항변별도가 높은 문항이었다. 말하기상황 체크리스트는 접근 효능감과 유창성 효능감에서 문항변별도가 낮게 나타난 9개 문항을 제거하고 26문항으로 수정하였다. 불안 체크리스트는 30문항 중 문항변별도가 낮은 5문항을 제거하여 25문항으로 수정하였다. 수정된 인지․정서 평가의 내적일치도는 모두 .9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의사소통 체크리스트와 말하기 상황체크리스트의 접근 효능감은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유창성 효능감과 불안 체크리스트는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인지․정서 평가 간 상관은 불안 체크리스트를 제외하고 모두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결론: 말더듬 청소년의 인지․정서 평가 개발을 위하여 문항을 개발하고 예비 검사를 통해 평가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향후 말더듬 청소년의 인지․정서적 특성을 제대로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의 표준화로 이어져 임상현장에서 말더듬 청소년의 내면적 특성을 평가하고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Purpose: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velop an evaluation in the cognitive and emotional domains of the Korean Adolescents Stuttering Test (KAST, Shin et al., 2019). Methods: Communication attitude checklist (CAC) and speaking situation checklist (SSC) items were developed, and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by 7 fluency disorder experts. A preliminarily test was conducted on 10 adolescents who stutter (AWS) and 10 adolescents who do not stutter (AWNS). Internal consistency, independent t-test between groups, and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evaluations were performed. Results: A total of 23 items were developed for the CAC and 37 items were developed for the SSC. As a result of the expert content validity, the items with a CVI of .8 or less were corrected or removed to leave 21 items and 35 items respectively. As a result of the item analysis, all 21 items in the CAC were items with high item discrimination. In the SSC, 9 items with low item discrimination were removed and modified to leave 26 items. The anxiety checklist (AC) was revised to 25 items by removing 5 items with low item discrimination among the 30 items.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revised cognitive/emotional evaluations was all higher than .9.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the CAC, approach efficacy of SSC except for the fluency efficacy of SSC and the AC. All correlations between cognitive and emotional evaluation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except for the AC. Conclusion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lead to the standardization of tools that can properly measure cognitive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AWS in the future, and can be used to evaluate and treat the intrinsic characteristics of A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