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우리나라는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되는 국가 중 하나이지만 노년층과 청장년 간의 갈등은 심화되고 있고, 노인의 사회적 지위는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본 연구는 노인에 대한 타 세대의 태도, 정서, 그리고 고령친화정책 태도 및 지지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뉴스 미디어의 역할에 주목하여 뉴스 기사의 논조, 그 안에 등장하는 노인의 특성, 그리고 해당 특성에 대해 응답자가 지각하는 통제성의 정도가 노인에 대한 태도와 정서적 반응 그리고 고령친화정책에 대한 태도 및 지지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특히, 뉴스 기사를 읽은 후 나타날 수 있는 공감과 연민이라는 두 가지 정서의 상이한 메커니즘과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노인에 대한 기사의 논조(2: 긍정 vs. 부정)와 기사 속에 드러난 노인의 특성(3: 성격 vs. 능력 vs. 외모)을 조작하여 성인 6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실험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기사의 논조에 따라 응답자의 노인 태도, 연민, 공감의 정도가 유의미하게 달라졌으며, 이는 기사 속 노인의 특성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났다. 한편, 노인의 특성에 대해 응답자가 지각한 통제성은 기사의 논조와 함께 노인에 대한 공감 및 연민에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고령친화정책에 대한 태도에는 노인에 대한 태도와 공감만이, 지지의도에는 공감만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고령친화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뉴스 기사의 역할을 강조하고 내용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를 갖는다.


Although South Korea is one of the fastest aging countries, social status of Korean older adults has been consistently worsening. Focusing on the role of news media, the present study examines it the valence and the stereotype content of news stories about older adults influence young people’s attitudes and affective responses (i.e., compassion and empathy) toward older adults. This study also tests the moderating role of perceived controllability of older adults’ characteristics. A 2 (valence: positive vs. negative) by 3 (content: personality, competence, and appearance) factorial design was employed. Perceived controllability was treated as a within-group variable. The result of an online survey (N = 600) revealed the main effect of news valence, an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valence and the stereotype content in the news. The interaction of perceived controllability and news valence was significant only for predicting compassion and empathy. Attitude toward senior-friendly policies was predicted by attitude and empathy, but intention to support the policies was predicted only by empathy toward older adult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provide implications to journalists and policy makers by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promoting social empathy toward older people for smooth implementation of senior-friendly policies and syst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