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북한 재현의 문학적 계보를 구성하려는 시도의 일환으로서 분단 문학을 이끌었던 한 세대의 작가들이 창작한 작품들을 통해 한국문학사에서 분단 문제가 다뤄진 방식과 북한 재현의 역사가 가지는 의미를 고찰한다. 시론적 성격을 가지는 이 논문에서 우선적으로 조명하고자 하는 대상은 최인훈과 이호철을 비롯한 1960년대 작가들이다. 이들은 분단 문제를 사유하는 데 몰두했던 대표적인 작가로서 한국사회에서 형성되고 있던 전형적인 북한담론과 길항하며 예외적이고 차별화된 방식의 문학적 재현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문학은 재현할 수 없는 것을 재현하려는 미학적 열정의 소산이지만, 이 작가들에게 문학을 한다는 것은 이러한 보편적인 딜레마 이외에도 ‘쓸 수 없는 것을 쓰는 일’이라는 현실적인 과제를 감당하려는 시도였다는 점에서 더 각별한 의미를 가졌다. 이 논문은 이러한 특징들을 염두에 두면서 해당 작가들이 경험해야 했던 문학적 딜레마가 무엇이었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분단 문학의 역사를 새롭게 조명하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한다. 분단 문학을 이끌었던 한 세대의 문학적 성취와 딜레마에 대해 사유하는 일은 한 시대의 인식을 가능하게 했던 특수한 담론들과 그 기저에 깔려 있던 정치적 무의식을 성찰하게 한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과업이 될 것이다.


This paper set out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history of North Korean representation with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through literary works created by a generation of writers who led the division literature movement. In particular, it investigates the works of Choi In-hoon and Lee Ho-chul. As representative writers who took the issue of division into account, they attempted to produce literature in an exceptional and differentiated manner, defying the typical North Korean discourse that dominated at the time. Even though literature could be regarded as the product of an aesthetic passion for reproducing things that cannot be reproduced, for these writers, literary writing was particularly meaningful in that it was an attempt to take on the specific purpose of “writing things that cannot be written.” In this context, this study seeks to examine in different ways the literary dilemmas that the writers had to experience, and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cast light on the history of division literature from a new perspective. Thinking about the significance and dilemma of a generation that represented division literature is a meaningful task, in that it allows us to reflect on the various discourses and political unconscious that construct the perception of certain historical epoch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