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재창업 희망자들의 창업도전시 인식하게 되는 창업 실패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그동안 창업 관련 여러 선행연구에서는 재창업을 희망하는 예비창업자들이 창업을 처음 도전하는 예비창업자들에 비해 창업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더 높게 인식한다고 알려져 있다. 재창업희망자들의 창업 실패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자기효능감과 창업태도, 기민성(탐색검색력, 연합연결력, 평가판단력)과 회복탄력성을 설정하고 영향력 관계를 11개의 연구가설로 가정하였다. 전북지역 재창업 희망자 대상 창업전문교육을 받고 있는 수강생 233명으로부터 설문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Smart PLS를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설정한 11개의 가설중 1개의 가설을 제외한 10개의 가설이 채택되었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지니고 있다. 첫째, 재창업 희망자들의 창업 자기효능감과 창업태도는 창업 실패 두려움에 유의적인 부(-)의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이다. 재창업희망자들은 창업시도후 한번 이상의 실패를 경험하고 있어 재창업희망자 대상 교육의 경우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긍정적인 창업태도를 가질 수 있도록 독려하는 교육프로그램 등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보여주는 결과라 하겠다. 둘째, 재창업희망자들이 가지고 있는 기민성은 창업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창업태도 모두에 있어 유의적인 정(+)의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재창업희망자들은 한번 이상의 창업실패로 인해 창업정보에 대한 빠른 탐색과 판단이 요구되고 있다는 것으로, 향후 재창업희망자 교육에 있어 이러한 기민성(탐색검색력, 연합연결력, 평가판단력)을 높이는 교육프로그램이 창업시도를 촉진하는데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는 점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재창업희망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과정설계시 이러한 연구결과를 충분히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재창업창업자의 회복탄력성은 창업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창업태도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력을 확인히였는데,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창업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긍정적인 창업태도를 형성하게 되고 이를 통해 창업실패에 대한 두려움을 상대적으로 적게 인식하고 창업을 시도하게 된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보여주는 결과라 하겠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재창업 희망자들이 창업시도에 주저하는 이유를 설명하는데 있어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며 향후 재창업 교육과정 설계에 있어 예비창업자의 기민성과 회복탄력성을 높일 수 있는 교과목 및 강의내용 등이 강화될 필요가 있음을 재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ain factors influencing Fear of Failure during Re-Startup trial. This study collected 233 survey data from Pre-Entrepreneurs preparing the re-Startup in Korea.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and the Partial Least Squares (PLS) modelling were hired in order to test the 11 hypotheses. Empirical results showed that Self-Efficacy significantly has a positive effect on Fear of Startup Failure. Moreover, Attitude of Startup positively and directly affect self-efficacy. Pre-Entrepreneurs’ alertness(Scanning and Searching Ability, Association and Connection Ability, Evaluation and Judgement Ability) and resilience have positive effect on Fear of Failure via Self-Efficacy of Startup.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ribute towards explaining Pre-Entrepreneurs Startup trial and consequently raising the alertness and resilience have important role in facilitating re-Startup trail of Pre-Entrepreneu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