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평가 차이를 분석하여 국어교사의 평가 전문성을 신장하고 평가 결과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실험 텍스트 6편과 일반 텍스트 54편에 대한 현직교사 8명과 예비교사 9명의 평가 결과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직교사가 예비교사에 비해 더욱 엄격한 점수를 부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직교사가 예비교사에 비해 평가 결과의 차이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직교사와 예비교사 모두 일반 텍스트보다는 실험 텍스트에 낮은 점수를 부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평가자들은 일반 텍스트보다 실험 텍스트에 더 많은 채점 편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현직교사는 실험 텍스트를 평가할 때 자신의 일반적인 엄격성 수준보다 상대적으로 관대하게, 예비교사는 상대적으로 엄격하게 평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여섯째, 일부 평가자들은 실험 텍스트를 평가할 때 척도 활용의 어려움을 겪거나 분량을 가점 요인으로 인식해 텍스트의 수준과는 상이한 점수를 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평가자 교육을 구성하거나 평가 계획을 수립할 때 고려해야 하는 점에 대해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characteristics of in- and pre-service Korean language teachers to increase the expertise and to propose ways to ensur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writing assessment. To this end, the results of the assessment of 8 in-service teachers and 9 pre-service teachers for 6 experimental operation texts and 54 general tex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in-service gave severer grades than pre-service. Second, the difference in assessment results of in-service was greater than that of pre-service. Third, both in- and pre-service were found to have given lower scores to experimental texts rather than general text. Fourth, teachers have been shown to show more rating bias in experimental text than general text. Fifth, there has been a tendency for in-service to be relatively more lenient in experimental texts and pre-service to be relatively severer in experimental texts than one's general level of severity. Sixth, it has been shown that some teachers experience difficulty in using scale when assessing experimental text or recognize volume of text as a additive factor, giving different scores from the level of t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