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근세에 살면서 조선 선비의 조행을 끝까지 지킨 우정(于亭) 성환혁(成煥赫,1907~1965)이라는 인물의 생애 전반을 탐색하여 그 인간상을 통해 오늘날 귀감으로 삼을 것을 찾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그는 오늘날 거의 잊혀져 가고 있지만, 당대에는 상당히 알려진 인물이었고, 그의 삶은 고집스러울 정도로 독특하였다. 경상 우도 한학(漢學)은 그의 스승인 하겸진(河謙鎭) 세대에서 마무리되는 상황이었고, 성환혁은 면우(俛宇) 곽종석(郭鍾錫)에서 하겸진으로 이어진 학맥을 이은 마지막 세대라 할 수 있다. 그런데 그의 스승 세대까지는 어느 정도 연구된 실적이 있지만, 그 이후의 학자들에 관한 연구는 별로 없다. 성환혁도 문집 3책을 남겼고, 당대의 선비사회에서 주도적으로 활동했지만, 오늘날 학계의 주목을 받지 못하여, 그에 관한 연구 실적이 전혀 없다. 그래서 우선 이 글에서는 그의 삶을 전반적으로 조명하면서 학문과 문학세계를 개괄하여 오늘날 우리가 주목해 보아야 할 것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의 행적을 몇 가지로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평생 올곧은 선비정신으로 일관하였다. 오로지 전통 한문학에 침잠하여 유학의 도가 실현 되기를 기다리며, 세상이 다 변해도 개명을 거부하는 자세를 끝까지 견지하였다. 둘째, 도학에 기반하는 이상적 세상에 대한 꿈을 시·문학으로 형상화하였다. 그의 문학은 기교를 배격하고 육경(六經)을 바탕으로 하여, 소박하면서도 강렬한 작품색채를 띠고 있었다. 셋째, 폭넓은 사우 관계로 서울과 진주 지방의 학문과 시·문학 교류에 일익을 담당하였다. 특히 위당 정인보(鄭寅普) 등 당대 서울의 석학·명사들과의 깊은 교류로 남부의 진주 지방이 서울을 중심으로 하는 문화의 흐름에 편승하는데 나름의 역할이 있었다. 이상으로 보면, 성환혁의 삶이 그다지 특별할 것이 없어 보인다. 선비로서 당연한 조행이며, 일상적인 학문 자세임에 틀림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가 돋보이는 것은 그 당연함을 지키지 못한 당대 선비사회에 비교되기 때문이다. 그는 혼란스러운 변혁의 시대적 물결 속에 홀로 선 지주(砥柱)처럼 행동하였다. 그의 조행은 오늘날 서구화와 세계화의 물결 속에 정체성을 잃어가고 있는 우리 세대가 주목해 보아야 할 부분이라 생각된다. 물론 그의 갓쓴 조선시대 차림의 퇴행적인 모습을 본받자는 것은 아니다. 그 조행을 받치고 있는 정신이 우리 문화의 위대한 점을 지키면서 진정한 선진문화국으로 가는 길에 하나의 지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기 때문이다.


This paper aimed at highlighting an ideal humanity following entire life to make a paragon for nowadays, who posed an exemplary scholarly manner during modern period of Chosen dynasty. He was a celebrity and distinguished scholar in that era while mostly forgotten recently. His life style was quite unique with his own stubborn and peculiar attitude. As confucian academic genealogy was on the verge of being finalized in the generation of Ha Gyum-jin(河謙鎭) as his teacher, Ujeong could be a nearly last generation to attain the scholarly lineage extradited from Myunwoo(俛宇) Gwak Jong-suck(郭鍾錫) to Ha Gyum-jin. Considering that there has been certain amount of researches for his former generation, few noticeable researches prevails after the scholars including Ujeong. Given that Ujeong wrote three representative anthology titles and was proactively engaged with contemporary scholarly societies, no rigorous researches evaluating his life and achievements have been conducted. In such regard, this paper summarized and evaluated his scholarly accomplishments appeared within literature in conjunction with his life, and figured out several major aspects to be paid attention as followed below. First, he was consistent with an upright Confucian scholarly spirit throughout life. He was solely immersed in traditional literatures by eagering to realize the essence of Confucian virtue, thereby strongly maintained his classical attitude after the era became modernized. Second, he substantiated the vision to build idealized society in various forms of poetry and literature. His style of literature opposed artifice, but pursued artless as well as passionative stands based upon six confucian classics. Third, he placed a major role of social activities in terms of poetry and literature between Seoul and Jinju province through a wide range of relationships. In particular, profound friendships and exchanges with distinguished scholars and celebrities located in Seoul such as Widang(爲堂) Jeong In-bo(鄭寅普) contributed a degree of follow-up of Jinju region compatible with advanced culture centered on Seoul. Overall, the life of Ujeong looked not such prominent. It is because his achievements over his life were a stereo-type of activities and attitude as a typical confucian scholar. Nevertheless, he could be shed a symbolic light on as a paragon, considering most scholars in that contemporary scholarly society failed to maintain such typical way of novel attitude. He played a role of a lighthouse in chaotic times, thus that his way of life deserves to take a valuable consideration in recent generations who lost their identity in the middle of westernized and modernized era. It does not mean, however, that we have to unconditionally follow his old-fashioned and fetishized approach for the tradition, but obviously address that his spiritual perspective stemmed from our everlasting cultural background can be a milestone for becoming a genuine advanced coun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