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일본인들이 조선의 해역에서 ‘통어(通漁)’를 시작한 것은 1883년 9월 25일 ‘재조선국일본인민통상장정(在朝鮮國日本人民通商章程)’을 체결하면서 시작되었으며, 1889년 ‘조일통어장정(朝日通漁章程)’이 시행되면서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일제는 1903년부터 조선의 좋은 어장 근처에 토지를 매입하여 어업근거지를 설치하면서 관주도의 이주어촌을 계획・구체화하였으며, 울릉도・구룡포와 같이 어종이 넘쳐나는 어항에는 자율적으로 이주어촌이 형성되기도 하였다. 일제에 의해 계획적으로 이주어촌이 형성되었던, 일본 어민들이 자율적으로 이주어촌을 형성하였던 일본인들이 집단을 이루어 살게 되면 일본 민족의 일생통과의례나 세시풍속을 연행할 의례의 공간, 신사(神社)가 필요하였다. 울릉도에서는 1903년부터 오징어잡이가 시작되었으며, 오징어 생산량의 증가와 더불어 1914년까지 일본인들의 이주가 증가하였다. 1911년 6월 「조선어업령」의 공포로 1914년 2월 24일 울도어업조합(鬱島漁業組合)이 설립되었으며, 울릉도의 일본인들은 어업조합을 통해 집단거주촌을 확장하여 갔다. 이후 울도어업조합의 유지들에 의해 도동을 시작으로 남면 저동과 사동, 그리고 서면 태하동에 일본 어부의 항해안전과 풍어를 기원하는 신사가 건립되었다. 일제강점기 당시만 해도 조선인 어부들이 제를 지내는 해신당은 존재하지 않았으며 동제를 지내는 산신당만이 있었다. 해방 후 울릉도 주민들은 일본인들이 남기고 간 여러 대의 동력선과 어로도구를 이용하여 수산업에 종사하는 농민이 증가하면서, 울릉도 어촌마을에서는 일본인이 버리고 간 신사에서 해신제를 지내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비단 울릉도에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대표적인 식민 이주어촌인 감포, 통영 등지에서도 나타난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주어촌의 해양신앙으로서의 신사와 토속신앙과의 관련성을 울릉도를 연구대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일제식민지 문화변동은 탄압과 저항이라는 이분법적 잣대로 나뉘어지지 않기에 본 연구는 이주어촌을 경험한 어촌마을의 문화변용의 다양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The Japanese started temporaily fishing in the seas of Joseon on September 25, 1883, when Korean empire government signed the “Japan People’s Trade Agreement in Joseon”. And then it became active after 1889, when the act, which allowed Japanese to fish in Joseon, came into effect. Since 1903,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had purchased territory near good fishing spot of Joseon and established a fishing base, planning migration fishing village. On the other hands, in fishing ports overflowing with fish species such as Ulleungdo and Guryongpo, migrant fishing villages were formed autonomously. The migrant fishing villages that were formed either intentionally by the Japanese imperialism or autonomously by Japanese fishermen needed the Japanese shinto shrine, a space performing the Japanese people’s life-long passage rites and seasonal customs. With the beginning of squid fishing began in Ulleungdo in 1903 and its growth, the Japanese migration had increased until 1914. On February 24, 1914, the Uldo Fisheries Association was established due to the promulgation of the 「Chosun Fisheries Decree」 in June 1911. The Japanese on Ulleungdo island expanded their collective settlements through fishing associations. Afterwards, Japanese shinto shrines were built in Dodong, Jeo-dong and Sa-dong of Nam-myeon and Taeha-dong of Seomyeon, to pray for the safety of sailing and good catches of Japanese fishermen by local notables of the Uldo Fisheries Associ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only shrine for mountain gods existed and there was no shrine for sea gods where Korean fishermen held rituals. After Korean independence, the number of farmers engaged in the fisheries industry increased, using several power vessels and fishing tools left by the Japanese; as a result, in the fishing village of Ulleungdo island, the ritual for sea gods started at Japanese shinto shrine that was abandoned by the Japanese. This phenomenon does not appear only on Ulleungdo island, but also occurs in representative colonial migration fishing villages such as Gampo, Tongyeong and so on.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examine how Japanese shinto shrines in a migrant fishing village were related to Indigenous religion. This study might be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diversity of cultural changes in colonial migrant fishing villages because cultural changes in Japanese colonial rule are not divided by dichotomous standards of oppression and resist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