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이 인식한 부모의 과보호 양육태도와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를 탐색하고, 메시지 유형과 딜레마 상황의 반복이라는 맥락적 변인이 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 과보호 양육척도(K-POS) 점수에 따라 145명의 참가자들을 과보호와 비과보호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그 후 각 집단을 긍정 및 부정적 외부효과 강조 프레이밍, 중립적 메시지 조건에 배정하였고, 모든 참가자는 딜레마 상황을 반복 제시받았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딜레마 상황과 유사한 상황을 유도하기 위해 ‘공공재 게임’이라는 도구를 사용하였다. 게임 내에서 참가자에게 개인계정과 공공계정에 토큰을 투자하는 것과 관련된 긍정 및 부정적 외부효과 강조 프레이밍, 또는 중립적 메시지를 제공 후 블록 당 8시행인 딜레마 상황을 4블록 반복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삼원상호작용이 나타나 메시지 유형별 사후 분석을 진행하였는데, 부정적 외부효과 강조 프레이밍에서 딜레마 상황을 2-3블록 제시하였을 때 과보호 집단이 비과보호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수준의 친사회적 행동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정적 외부효과를 강조한 메시지 유형에서 집단의 주효과가 나타나, 과보호 집단이 비과보호 집단에 비해 더 낮은 수준의 친사회적 행동을 보이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는 과보호를 인식한 대학생 집단이 항상 낮은 수준의 친사회적 행동을 보이는 것이 아니고, 친사회적 행동은 다양한 맥락적 요인의 영향을 받음을 의미한다.


The current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overprotection and prosocial behavior of undergraduate students, and how the contextual variables such as message framing and dilemma repetition affect the relationship. For this purpose, A total of 145 participants were determined as either parental overprotection group or non-overprotection group based on the Korean-Parental Overprotection Scale(K-POS) scores. Then, an experimental paradigm called ‘public goods game’ was conducted to measure prosocial behavior in context similar to the actual situation where dilemma occurs. In ‘public goods game,’ participants were presented with message that emphasizes positive or negative external effect, or neutral messages related to investing tokens in personal and public accounts, and then repeatedly presented with a 4-block dilemma, consisting of 8 trials per block. The results showed that a group reported parental overprotection shows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prosocial behavior than the other only in condition that emphasizes negative external effect, especially when dilemma were presented in block 2 and 3. This suggests that a group experiencing parental overprotection does not always show a low level of prosocial behavior, rather prosocial behavior is influenced by various contextual variab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