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도자기를 단순 실용적 차원의 기물이 아니고 동양 문인들의 철학과 미학이 표현된 기물이라 점에서 '마음이 표현된 도자기[心磁]'라고 규정한다. 이같은 ‘심자[心磁]’로서 도자기는 그것이 제작된 시기의 정치적 상황뿐만 아니라 제작을 요구한 지배층의 철학적 사유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런 점에서 본고는 시대 상황에 따른 도자기의 변모를 미시적 관점에서 접근하여 동양의 문화와 철학의 변천과 흐름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본고는 특히 청대 구왈수(裘曰修)가 “도자기라는 기물로써 그 시대에 정치가 어떻게 행해졌는지를 안다[因器以知政]”라고 말한 것에 주목하였다. 도자기는 후원세력과 재정적인 지원 여부가 자기의 품질과 양식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는 점에서 어떤 미술작품보다 그 시대의 정치, 경제, 문화적 상황을 종합적으로 반영하기 때문이다. 본고는 도자기의 색이나 문양 등은 철학의 변천 및 한 시대에 영향을 끼친 철학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당대 당삼채(唐三彩)는 성당(盛唐)시대의 화려함과 풍요로움을 상징하고, 송대 백자는 ‘성즉리(性卽理)’를 중심으로 한 주자학의 득세와 관련이 있고, 명대의 다양한 문양과 색채가 운용된 풍성한 도자기[五彩磁器, 赤繪磁器]들은 ‘심즉리(心卽理)’를 강조하는 양명학과 관련이 있다는 점을 고찰하였다. 이처럼 미시적 관점에서 살펴본 중국과 한국에서 유행한 도자기는 생필품이란 차원을 넘어 한 시대의 정치적 상황이나 철학 사유의 변천 등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는 ‘인문자기(人文磁器)’, ‘인문기물(人文器物)’ 및 ‘심자(心磁)’ 차원의 도자기’였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조선조의 경우 백자에 대한 극심한 사랑은 이런 점이 더욱 강하게 드러나고 있는데, 조선조의 이같은 백자중심주의를 다른 시각에서 접근하면 삐에르 부르디외(Pierre Bourdieu)가 말하는 일종의 ‘구별짓기’가 담겨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considers Oriental literary porcelain not merely a practical object. Oriental literary porcelain is defined as ‘a porcelain with an expression of heart’. In that it is an artifact that expresses the philosophy and aesthetics of oriental literary porcelain. This ‘heart-expressed porcelain’ is very closely related to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time it was produced, as well as the philosophical reasons of the ruling class that demanded it to be produced. In this regard, this school sought to examine the changes and trends of Eastern culture and philosophy by approaching the transformation of porcelain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s from a micro-perspective. In particular, the paper noted that Qiúyuēxiū say “I know how politics was practiced in those days as an object of porcelain.” Oriental literary porcelain has a lot of influence on its quality and style, whether it is supported by sponsors or financially. In this regard, it can be said to reflect the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situations of the era more comprehensively than any other artwork. For example, the white porcelain of the Song Dynasty is related to the rise of Neo-Confucianism centered on ‘nature as truth’, and the rich porcelain of various patterns and colors of the Ming Dynasty is related to YangMingPhilosophy, which emphasizes ‘heart as truth.’ From a microscopic point of view, we could see that the porcelain popular in China and Korea were ‘humanistic porcelain,’ ‘humanistic objects,’ and ‘heart-expressed’ porcelain, which were very closely related to the political situation and changes in philosophical reasons of an era. In particular, Joseon Dynasty's extreme love for white porcelain is more strongly revealed, and if Joseon Dynasty approaches this white porcelain-centeredness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it can be said that Pierre Bourdieu refers to as a kind of ‘distin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