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님의 침묵』은 한국 근대문학사에서 최초로 ‘몸’의 담론인 문학(연애)과 형이상학인 ‘종교적 신념’을 성공적으로 결합한 시집이다. 이런 결합은 종교의 세속화나 문학의 정신주의, ‘초월 지향’으로 표현할 수 있다. 『님의 침묵은 감각과 형이상학의 대립성을 초월한 새로운 언어를 이 ‘양자[불교와 문학]’에게 되돌려주었다. 『님의 침묵의 ‘님’에 대한 해석을 부처, 조국, 연인으로 해석해 온 지금까지의 생각은 틀렸다고 할 수는 없으나, ‘님’의 다양한 해석 가능성을 ‘알레고리적인 해석’에 한정해서 읽은 혐의가 있다. ‘님’의 의미만큼이나 ‘님’이라는 호칭과 그것의 시적 사용이 만드는 새로운 감각 또한 중요하기 때문이다. “날카로운 첫<키쓰>의 追憶”이라는 구절이 대표적으로 보여주듯이 ‘키쓰’의 감각과 ‘님’의 관계를 종교적인 ‘믿음’으로 연결시키는 『님의 침묵의 화법은 ‘육체성’을 ‘정신성’으로 환기하는 새로운 방식의 담론이다. 육체, 일상적 체험, 현실과 정신, 형이상학, 종교적 믿음 사이의 차이를 무너뜨림으로써 님의 침묵은 ‘님’이 지닌 전통적 의미에 종교성과 형이상학적 상징을 덧보태고, 추상적 종교인 불교에 ‘구체성과 육체성’을 부여한다.


In a situation in which the general trend of the “Dong - in - zee(同人誌)” literature in the 1920s was largely focused on Tagore, who was awarded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as an Oriental poet at the time, it can be said that Manhae's interest in “Tagor” was rather natural. In particular, unlike Tagore's ‘divine’ - centered thinking, Manhae represents a new metaphysical value that is given to physicality and humanity by representing ‘NEEM’, which is distinct from Tagore's second - person pronoun ‘thou’, through ‘The Silence of NEEM’. It embodies the concept of ‘love’. “The silence of NEEM” was the first collection of poems in Korea's modern literary history that successfully have “discourse of body”, combines to “religious beliefs”. Transcending the confrontation between sensibility and metaphysics, it returned the new language to the《Buddhist and Literature.》The idea of “NEEM”, which has been intrepreted as the “Buddha, homeland, lover”, is not wrong, however the possibility of a different allegorical interpretation of “NEEM” always has been, too.’ So, it's also very important to take note to the new sense of poetic words as much as to intreprete the ‘ideas’ of “NE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