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학령기 청소년 10,503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삶의 만족에 대한 결정요인을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청소년 삶의 만족에 관한 정책적 함의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실증분석결과에 의하면, 청소년 개인의 특성, 이를테면, 성, 연령, 성격(외향성), 질병 유무 등-에 따라 삶에 대한 만족도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한편, 청소년의 삶을 구성하는 영역들 가운데 교육영역과 관계영역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난다. 교육과 관련하여, 주관적 학업성취가 삶의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는 단순히 학업만이 아니라 삶의 가치에 대한 바람직한 인식 및 학업을 바라보는 패러다임의 미래지향적 정립을 통해 청소년으로 하여금 삶의 설계에 있어 학업 문제를 건설적으로 풀어나가도록 함을 함축한다. 관계영역에서, 친부모와의 동거 및 어머니의 전업주부 여부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난다. 그럼에도, 어머니의 전업주부 여부에 따라 청소년의 체감만족도와 학부모의 인식 정도 사이에 괴리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청소년 삶의 만족에 대한 결정요인을 분석함에 있어 청소년 개인의 특성과 함께 삶을 구성하는 영역별 만족도와 부모의 인식을 고려함으로서 보다 종합적으로 접근하며, 청소년 정책의 궁극적 대상인 이들의 삶의 만족에 초점을 둔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derive policy implications regarding youth’s life satisfaction by exploring what factors affect youth’s life satisfaction through regression analyses on 10,503 school-aged people. According to the empirical results, there are variations in life satisfaction by youth’s characteristics, for example, gender, age, innate attitude (especially, extroversion), existence of disease and so on. Among the domains that consist of youth’s life, education and relation appear to be important. Regarding the education domain, subjective academic achievement is analyzed to significantly affect youth’s life satisfaction. It implies that not only educational achievements but also desirable acknowledgement on the value of life and the future-oriented set-ups of viewpoint on education are needed for youths to constructively figure out concerns on education in designing their own lives. In the relation domain, coexistence of parents and mother as a full-time house-maker seem to matter. However, it is shown that there exists a gap between youth’s coenesthesia and parents’ recognition on youth’s life satisfaction, and this gap is dependent upon mother’s employment status. In analyzing the determinants of youth’s life satisfaction, the meaningfulness of this paper could be found that it takes a more comprehensive approach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youths, satisfaction of each domain which consists of their life, and the perception of their parents and that it focuses on youth’s life satisfaction which is the ultimate goal of policies on youth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