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한국 종교학계의 사회과학적 연구에서는 거의 도입되지 않았던 니클라스 루만(Niklas Luhmann)의 종교 이론을 고찰한 후, 한국 사회의 종교 연구에 있어서 그 적용 가능성을 전망한다. 종교에 대한 연구를전개하면서 니클라스 루만의 이론을 도입하고 활용하기 위해 가장 먼저선행되어야 할 작업은 루만의 체계 이론을 구성하는 가장 일반적이고도기본적인 개념들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 논문은 가장기본적인 단계에서 체계 이론의 핵심 개념인 의미와 소통 개념을 중심으로 루만의 종교 이론을 소개한다. 니클라스 루만의 종교 이론에 따르면, 종교는 사회적 체계로서 보편적인 의미 매체의 형식으로 나타난다. 사회적 체계인 종교는 항상 두 면으로 된 형식으로서 종교적 소통의 내부는 종교적 소통을 재생산하면서 그자체로 현존하며 그 외부는 소통의 다른 가능성들이 존재한다. 종교가 종교적 소통을 재생산하는 사회적 체계인 한, 종교는 형식들을 의미 매체안에서 형성하는 데 의존하지 않을 수 없다. 또한 루만은 인간 개념을 소통 개념으로 대체함으로써 전통적인 인간학적 종교 이론을 사회 이론으로 대체하고자 하였다. 종교 체계에 있어서 관건이 되는 것은 오직 종교적 소통뿐이다. 체계이론과 소통이론의 맥락에서 종교가 '소통 체계'라는것은 한마디로 종교가 구별을 가지고 작동하는 '관찰하는 체계'임을 말한다. 그리고 현대 사회에서 종교는 내재/초월의 이항 코드를 가지는 체계로서 구별 가능하다. 내재와 초월이라는 주도적 구별은 종교적 작동들, 즉 종교 체계의 고유한 작동들이 다른 작동들과 구별되도록 도와준다. 루만에 의하면, 종교를 관찰한다는 것은 종교적 소통의 재생산을 관찰하는 것이다. 종교 체계의 관찰을 위해 사용될 수 있도록 준비된 체계이론의 정교한 개념들이 있다. 그 개념들을 적절히 사용하려는 시도는종교에 대한 새로운 과학적 소통의 가능성을 제공해 줄 수 있다. 결론적으로 루만이 구성한 방대한 규모의 체계이론은 고도로 추상화된 수많은개념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독해와 이해에 상당한 시간을 요구하지만, 이러한 작업이 선행된다면 그의 이론은 한국 종교 연구에 있어서도하나의 새로운 관점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기존 연구들이 보여주지 못했던 다양한 관찰지점들까지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plores Niklas Luhmann's systems theory of religion and then proposes the prospects of an applicability in the study of religions of Korean society.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general and basic concepts constructing the system theory of Luhmann is required to introduce and apply Luhmann's systems theory. Accordingly, this paper explains the systems theory of religion of Niklas Luhmann, focusing on the concepts of meaning and communication, which are the core and basic concepts of systems theory. From this Luhmannian perspective, religion, as something quintessentially social, is a form of meaning as a universal medium. And the systems theory of Niklas Luhmann replaces the idea of humanity with that of communication, thus replaces the traditional theory of religion centered on anthropology with a theory of religion centered on society. In this context, religion system is an observing communication system with distinction. Also, religion as a functionally differentiated system is distinguishable with an immanence/ transcendence binary code in modern society. Luhmann's systems theory of religion suggests a new perspective to the study of religion of Korean society and various points of observation. In conclusion, this paper proposes the prospects of an applicability in the study of religions of Korean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