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에서는 율곡의 인심도심 종시설(終始說)이 도덕주체의 일상적인 자기 주재력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러한 실천적 관점에서 율곡이 염 개념을 해석했다는 것을 규명하고자 한다. 율곡은 인심도심의 상호전화 가능성을 인식하고 이를 살필 것을 강조했다. 이러한 연장선상에서, 무사시(無事時)에 발동하는 의식인 염 개념을 세 층차로 구분한 것으로 보인다. 인의예지(仁義禮智)를 위해 발동한 선념(善念)이라면 유지해야 하며, 이해(利害)와 관련된 악념이라면 곧바로 제거해야 한다. 악념(惡念)을 철저하게 제거하지 못한다면 인의예지를 위해 발동한 선념을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선념도악념도 아닌 부념(浮念) 발동을 그대로 방치한다면, 선념의 활성화를 통한 효과적인 악념 제거가 어려워지며 부념의 연속으로 인한 의지 나약의 상태를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율곡이 인심도심설의 궁극적 목적을실현하고자 염 개념을 해석 했으며 여기에 함축된 동양 윤리학적 의의를 조명하고자 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larify Yulgok(栗谷)'s theory of Moral mind(道心) andHuman mind(人心) which strengthens everyday self-supervision. From this practicalpoint of view, Yulgok(栗谷) interpreted the concept of Nian[念]. Yulgok(栗谷)'s theoryof Moral mind(道心) and Human mind(人心) implies potential mutual conversion. Therefore, the moral subject has to watch signs of good and evil. According to Yulgok, when nothing happens and sat quietly, thoughts are dividedinto three categories, which ShanNian[善念], ENian[惡念], FuNian[浮念]. ShanNian[善念] is considering about RenYiLiZhi[仁義禮智], ENian[惡念] is thinking about privateLiHai[利害] and FuNian[浮念] is neither good nor bad intention. FuNian[浮念] isunnecessary thoughts but if you are not careful, problems arise. First, this preventsShanNian[善念]. Second, this weakens the good will. In this paper, I will studyYulgok(栗谷)'s theory of Moral mind(道心) and Human mind(人心) and Nian[念] froma moral practical perspec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