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유아기의 자녀를 둔 부모와 그 자녀를 대상으로 아버지와 어머니의 주관적 행복감, 부부갈등, 우울과 자녀의 공격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부모의 긍정심리인 주관적 행복감과 부정심리인 부부갈등, 우울이 자녀의 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한국아동패널자료(7차년도)를 사용하였으며 총 1620가정을 표집하였고, 이중, 아버지 1484명, 어머니 1,563명이었다. 주관적 행복감과 부부갈등, 우울감에서 아버지와 어머니간에 차이가 있는지 차이분석을 통해 살펴보고, 부모의 주관적 행복감, 부부갈등, 우울이 자녀의 공격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구조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관적 행복감은 아버지가 어머니보다 높고, 부부갈등 수준과 우울은 어머니가 아버지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차이검증결과 아버지, 어머니의 주관적 행복감, 우울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 부부갈등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즉, 아버지가 어머니보다 주관적 행복감이 높고 우울이 낮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부모의 주관적 행복감, 부부갈등, 우울과 자녀의 공격행동의 상관 분석 결과,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 부부갈등과 우울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인 상관을 보였고, 주관적 행복감과 부부갈등/우울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인 상관을 보였다. 자녀의 공격행동은 부정심리인 부부갈등과 우울에는 정적인 상관을 보였고, 긍정심리인 주관적 행복감에는 부적인 상관을 보였다. 셋째, 구조분석 결과, 아버지, 어머니의 모형 모두 부부갈등과 우울이 주관적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 결과는 자녀의 공격행동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부모의 부부갈등과 우울은 낮추는 한편 부모의 주관적 행복감을 높일 수 있는 실제적인 방안이 마련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subjective well-being, marital conflict, depression and the preschooler's aggressive behaviors. The Korean Children's Panel data (7th year) was used to analyze the effects of parental subjective well-being, marital conflict, and depression, on their children's aggressive behavior. In other words, it examines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father and mother in subjective well-being, marital conflict, and depression, examines the correlation between factors, and conducts structural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parental subjective well-being, marital conflict, and depression on their children's aggressive behavior.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athers’ level of subjective well-being was higher than that of mothers. The level of marital conflict was higher for mothers than fathers. The t-test show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athers and mothers for these two factors. As for marital conflict. mothers’ level was higher than fathers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factors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marital conflict and depression for both mothers and fathers.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subjective well-being and marital conflict /depression. Aggression of the children had a positive corelation with marital conflict and depression, which are negative psychological factors, and a negative corelation with subjective well-being, which is a positive psychological factor. Third, as a result of structural analysis, marital conflict and depress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in both father, and mothers model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reduce the children's aggressive behavior, practical measures should be devised to lower the parents' marital conflict and depression while increasing the parent's subjective well-be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