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일차적인 목적은 3.1운동의 비폭력 평화 정신이 대부흥운동에서 비롯된 것임을 논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부흥운동기부터 3.1운동까지 기독교 민족운동가 및 기독교 지도자들을 중심으로 국내외 저널, 신문기사, 서한, 보고서, 심문조서 등의 1차 자료와 기존 연구성과들을 분석하였다. 대부흥운동 이전의 기독교인들은 기독교 평화에 대한 개념을 뚜렷하게 정립하지 못하고 기존 민족운동의 사상적 전통을 그대로 흡수하여, 기독교인이면서도 일제에 대한 무력저항을 긍정하는 모순된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대부흥운동을 통하여 한국 교회 성도들에게 형성된‘기독교 평화’에 대한 인식은, 기독교계의 민족운동에 기독교적 정체성을 부여하고 대부흥운동 이후의 기독교 민족운동이 애국계몽운동을 중심으로 전개된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3.1운동의‘비폭력 운동’이라는 방법론을 창출해 낸 사상적 기반이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새롭게 인식할 수 있는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3.1운동의 특징적인 비폭력성은 대부흥운동기 신앙적 각성을 통한 폭력의 재인식과 밀접한 연관을 가진다. 둘째, 3.1운동은 하나님이 창조하신 인간에 대한 보편적 공동체 의식을 통하여 인간 존엄의 가치를 우선하는 평화적 방법으로 전개되었다. 셋째, 기독교 여성들의 인간 평등사상에 대한 각성과, 제국주의적이며 남성적인 일제의 폭력에 무저항으로 대응한 측면은 3.1운동의 평화적 특성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at the nonviolent peace spirit of the 3.1 Movement originated from the Great Revival Movement. For this purpose, the first data and previous research results of domestic and foreign journals, newspaper articles, letters, reports, and interrogation papers were analyzed, focusing on Christian national activists and Christian leaders from the Great Revival Movement to the 3.1 Movement. Christians before the Great Revival Movement did not clearly establish the concept of Christian peace and absorbed the ideological tradition of the existing national movement as it was, showing contradictory aspects that affirmed the armed resistance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while being Christian. However, the perception of ‘Christian Peace’ formed among Korean church members through the Great revival movement gave the national movement a philanthropic identity. It also became the ideological basis for the creation of the methodology of the 3.1 Movement called the “nonviolent move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 non-violence of the 3.1 Movement is closely related to the re-perception of violence through religious awakening during the Great Revival Movement. Second, the 3.1 Movement was developed as a peaceful way to prioritize the value of human dignity through a universal sense of community for humans created by God. Third, the awakening of Christian women’s ideas of human equality and the non-resistance to imperial and masculine violence of Japan greatly affected the peaceful characteristics of the 3.1 Mov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