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마가복음에서 식탁교제의 모티프는 확연하다. 특히 수난사화에서 절정에 도달한다. 예수는 빵을 가리켜 당신의 ‘몸’이라 한다(14:22). 마가는 분명 빵과 식탁교제의 모티프(빵의 기독론)로써 예수 이야기를 이끌어간다. 마가복음에서 식탁교제 모티프 전체를 아우르는 하나의 일관되고도 통일된 문학적, 신학적 틀이 있다면 그것은 빵으로써 그리스도의 몸을 상징하는 ‘빵의 기독론’이다. 그것은 ‘빵의 상징’과 ‘몸의 신학’이다. 문제는 마가복음 초입에 나타나는 식탁교제의 본문들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느냐다. 이 연구의 목적은 마가복음의 첫 번째 대단원(1:1-3:6)에 나타나는 식탁교제를 ‘빵의 기독론’으로 해석하는 것이다. 이 논문은 다음과 같은 주장을증명하려고 한다. (1) 예수는 세례와 시험 후 천사들에게 수종을 받음으로써 몸을 회복하였다(1:13). 그리고 시몬의 장모를 고친 후엔 그녀에게서수종을 받음으로써(1:31) 놀라운 ‘하나님의 나라를 ‘체험하였다.’ (2) 갈릴리논쟁에 나타난 빵의 신학과 확신은 모두 천사들과 시몬의 장모를 통해 얻은바 몸의 회복과 하나님 나라의 체험에서 왔다. (3) 그 신학과 확신이 바로 빵의 기독론을 만들었고, 후자가 마가 전체를 통하여 복음의 줄거리를형성한다. 이 논문은 문학이론과 서사비평을 방법론으로 한다. 특히, 당신의 체험과 그에 따른 ‘의식’의 변화를 중시함으로써 예수를 ‘입체적 인물’ (round character)로 전제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서사적 공간’을 확보할 수있다.


The literary motif of table fellowship is clear and dominant in the Gospel of Mark. It reaches its climax, especially in the passion narrative. Jesus identifies ‘bread’ as his ‘body’ (14:22). Mark obviously leads his gospel with the motif of bread and table fellowship. If we have one single, consistent, and unified literary and theological framework that encompasses the whole table-mate motif in the Gospel of Mark, it is the “Christology of Bread,” which symbolizes the body of Christ as bread. In other words, the ‘symbol of bread’ and the ‘theology of body.’ The problem is how to understand the texts of table dating that appear at the beginning of the Gospel of Mar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the table fellowship motif in the first unit of the Gospel of Mark (1:1-3:6) within the “Christology of Bread.” This paper tires to prove the following argument: (1) After the baptism and temptation, Jesus recovered his body by being served with breads by angels (1:13). And after healing and by being served with breads by Simon’s mother-in-law, Jesus experienced the kingdom of God in the table fellowship. (2) The theology and conviction of bread by Jesus in 3:1-6 all came from the same restoration of his body and his experience of the kingdom of God. (3) The Christology of bread came from his theology of bread and assurance, and the latter forms the plot throughout the Gospel of Mark. This paper employes literary criticism and narrative criticism as a methodology. In particular, we assume Jesus as a “round character” by placing emphasis on his experience and consequent changes in consciousness. By doing so, we can secure some space for narrative imag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