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시인부락』(1936)에서 『화사집』(1941)에 이르는 서정주의 초기 시를 니체 사상과 관련해 검토함으로써, 서정주 초기 시에 나타난 생명의 전개 방식을 구명하고자 했다. 니체에게 생명은 인간의 삶, 삶에 대한 사랑, 자기를 극복하게 하는 힘이며 의지이다. 이는 영원회귀 사유를 통해 극심한 허무주의에 직면하거나 자신의 의지와 결단력을 드러냄으로써 삶을 긍정하는 것으로 드러난다. 이러한 니체의 사상은 서정주의 초기 시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를 위해 본고는 첫째, 『시인부락』에 수록된 뱀 이미지를 살펴보았다. 동인들에게 권태의 상황을 보여주는 것으로 활용되지만, 이는 서정주에게 허무주의 상황을 제시하고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표현된다. 둘째, 「웅계」연작에 나타난 수탉 이미지는 운명애와 자기 의지를 구현하는 존재로 형상화된다. 셋째, 서정주의 초기 시에 나타난 서구 지향성을 랭보 관련 산문과 시들을 중심으로 검토함으로써 랭보를 향한 서정주의 시선이 니체 사상을 전유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사실들을 검토하고 새로 해석하기 위해 『화사집』에 미수록된 작품과 당대 발행된 시 전문지에 수록된 작품을 기초로 서정주의 초기 시편들을 검토하고 새롭게 발굴했다. 이를 통해 서정주의 초기 시와 니체 사상과의 연관성을 예각화할 수 있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early poems of Seo Jeong-ju, ranging from Siinburak(1936) to Hwasajip (1941) in relation to Nietzsche's thought, in order to elucidate the development of life in the early poetry of Seo Jeong-ju. For Nietzsche, life is human life, love for life, and the power and will to overcome oneself. This is revealed as affirming life by confronting extreme nihilism or revealing one's will and determination through the thought of eternal return. Such Nietzsche's ideas are prominently displayed in the early poems. For this purpose, first, this paper examines the snake image contained in Siinburak, It is used to show the situation of boredom to the Siinburak group, but it is expressed to present the situation of nihilism to Seo Jeong-ju and overcome it. Second, the image of a rooster that appears in the “Unggye” series is embodied as a being that embodies love for fate and self-will. Third, by examining the western orientation that appeared in the early poems of Seo Jeong-ju focusing on Rimbaud-related prose and poetry, it was examined that the Seo Jeong-ju's view toward Rimbaud appropriated Nietzsche's thought. In order to examine these facts and interpret them anew, Seo Jeong-ju's early poems were reviewed and newly discovered based on works not included in the Hwasajip and works published in the magazines published at the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