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선문정로』는 참선 수행의 지침서이다. 직접 선수행을 하는 입장에서 이 책을 대한다면 어떤 방식의 이해와 적용이 가능할 것인가? 이것이 본고의 기본적 문제의식이라 할 수 있다. 『선문정로』는 다양한 인용문을 통해 그 주장의 논거로 삼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성철스님은 생략, 추가, 변환 등의 방식으로 인용문에 개입하기도 한다. 이러한 인용문에의 개입은 필연적으로 원래적 맥락과의 어긋남을 수반한다. 흥미로운 것은 그 맥락적 어긋남이 일어나는 지점에서 수행과 깨달음에 대한 새로운 초점 맞추기의 시도가 발견된다는 점이다. 『『선문정로』에서 몇 개의 장은 부정과 비판과 배격의 주제 의식을 그대로 노출하는 방식으로 장의 제목이 설정되어 있다. 제13장 해오점수, 제14장 분파분증, 제15장 다문지해, 제19장 소멸불종이 그것이다. 이것은 해오를 중시하는 견해, 지위 점차를 통해 한 단계씩 올라가 깨달음에 이르고자 하는 기획, 불교적 지식의 축적과 지해의 증장을 숭상하는 풍조, 스스로 깨달음을 선언하는 대망어가 횡행하던 선문의 병통에 대한 비판과 치유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던 집필 의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들 장의 설법에는 이러한 단절과 극복의 실천이라는 주제의식이 유독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에 해당 장들에 대한 고찰을 통해 어떠한 주제의식을 어떻게 전달하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The best way to Sŏn(『선문정로』) is a guidebook of Sŏn Meditation. How can you understand and apply this book from the standpoint of Meditation practice? This is the problem consciousness of this paper. It is based on the argument through various quotations. Here, the monk Songchol intervenes in the quotation by omitting, adding, or converting. Intervention in these quotations inevitably entails a deviation from the original context. Interestingly, at the point where the contextual misalignment occurs, an attempt to focus on meditation and enlightenment is found. Some of the chapters in this book are titled in a way that directly reveals the subject consciousness of negation, criticism, and rejection. The line of Realization of the understanding level & Gradual improvement(Chapter13), The line of Partial breakdown & Partial enlightenment(Chapter14), The line of Hear a lot & Knowing well(Chapter15), Extinction of Buddha seed(Chapter19). In Chapter13 monk Songchol Criticize such thoughts to value Realization of the understanding level & Gradual improvement. In Chapter14 monk Songchol Criticize such Planning to gradually go up one step and reach enlightenment. In Chapter15 monk Songchol Criticize a trend to venerate the accumulation of Buddhist knowledge and the increase of intelligence. These are intended to present criticism and cure measures for the disease of the Korean Sŏn s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