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부산 기장의 학리 지명을 대상으로 기장고지도, 기장군읍지, 기장근대지명자료 등을 검토하여 지명의 연원과 변천에 대한 정확한 지명정보를 제공하여 지명 정보의 왜곡을 막을 목적으로 연구되었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기장의 학리(鶴里)는 18세기 고지도에 항곶포(項串浦)로 처음 등장한다. 항곶포는 기장읍성으로 들어가는 입구의 포구라는 뜻인 ‘목고지’였으며 학(鶴)과는 관련이 없는 지명이다. 항곶포(項串浦)는 19세기 말엽에 항포(項浦)로 바뀌었다. 20세기 초엽인 1904년 경에 항포가 항리동(項里洞)으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항리와 발음이 동일한 학리(鶴里)가 등장하였다. 학리가 나타난 『경상남도기장군가호안』은 실제 마을의 호구를 정확하게 기록한 것이므로 당시에 현지 지명인 학리로 기록하였지만 행정지명으로는 여전히 항리(項里), 항포(項浦)로 쓰였다. 이러한 이유로 1910년에 간행된 『조선지지자료』, 1912년에 간행된 『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에서도 여전히 항리(項里)로 나타난다. 이후 1914년에 간행된 『경상남도동래군지지조서』에서 현지인의 지명인 학리(鶴里)가 재등장하게 되고 이것이 1917년에 간행된 『조선전도부군면리동명칭일람』에서 학리(鶴里)가 행정지명으로 고정되어 오늘날까지 이르고 있다. 동리명은 일제강점기에 행정구역 재편 등에 의해 지명이 변화하는 것이 많다. 그러나 이러한 행정지명 변화는 일제 강점기 이전인 갑오개혁에서 이미 태동해 있었으며 그 변화의 동인을 제공하고 있었다는 점을 기장군 학리(鶴里)의 지명 변화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ccurate information on the etymology of the place name of ‘hak-ri’ and the change of place name through the old map of Busan Gijang, Gijangguneopji, and modern Gijang place name data.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e study is as follows. Gijang's ‘hak-ri(鶴里)’ first appears as ‘Hanggotpo(項串浦)’ on old maps of the 18th century. ‘Hanggotpo(項串浦)’ was ‘Mokkoji’, which means a ferry at the entrance to Gijangeupseong Fortress, and is a name unrelated to the crane. ‘Hanggotpo(項串浦)’ was changed to ‘Hangpo(項浦)’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Later, 1904 at the early 20th century, ‘Hakri(鶴里)’, similar in pronunciation to ‘Hangri(項里)’, appeared in the process of changing ‘Hangpo(項浦)’ to ‘Hangridong(項里洞)’. 『Gyeongsang- namdo Gijangungahoan』, in which ‘Hakri(鶴里)’ appeared, accurately recorded the actual number of houses in the village, so it can be interpreted as the name of the village, ‘Hakri(鶴里)’, which was called by the residents at the time. However, it was still used as ‘Hangri(項里)’ and ‘Hangpo(項浦)’ as administrative place names. For this reason, 『Joseunjijijaryo』 published in 1910 and 『Jibanghaengjeongguyeokmyeongchingillam』 published in 1912 still appear as ‘Hangri(項里)’. Later, the local placename ‘Hakri(鶴里)’ appeared again in 『Gyeongsangnamdo Dongraegun jijijoseo』 published in 1914. In 1917, 『Joseonjeondobugun myeonridongmyeongchingillam』 ‘Hakri (鶴里)’ was fixed as an administrative placename and is still used today. Village names often change in Japanese colonial era due to the reorganization of administrative districts. However, it was confirmed through the change of the placename of Gijanggun Hakri(鶴里) that this change in the administrative placename had already been born in the GapoReform before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provided the cause of the change of the place n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