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세월호 사태 이후 본격적으로 만들어진 학교안전교육정책 변동의 내용과 과정을 복잡계 이론을 활용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복잡계 이론은 기존의 정책변동 이론과 달리 복잡함을 받아들이고 그 안에서 발생한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정책을 바라보기 때문에, 급격한 변화를 통해 형성된 정책을 바라보기에 적합하다. 학교안전교육정책 변동에서 나타나는 복잡계의 특징들을 살펴보고, 학교안전교육정책 변동에서 나타나는 복잡계 프로세스는 어떤 과정을 거쳤는지를 살펴보며 이를 통해 시사점을 도출한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안전교육정책은 복잡적응체제의 형태를 보여주며 변동의 각 단계에서 다양한 복잡계의 특징들을 보여주었다. 둘째, 학교안전교육정책 변동과정을 복잡계 프로세스로 살펴보면 경로의존성으로 인한 평형상태를 벗어나 혼돈의 가장자리를 거쳐 임계점을 지났으며 자기조직화와 공진화를 통해 창발하여 소산구조를 이루는 연속적인 복잡계의 프로세스를 보여주고 있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안전교육정책의 안정적인 정착과 관리를 위해 체제 외부에서의 에너지를 지속적으로 받아들여야 하며, 정책이 실제 행해지는 단위학교에 대한 자율성 확대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and processes of changes in school safety education policies made in earnest after Ferry Sewol Sate using complex system theory. Unlike conventional policy change theories, complex systems accept complexity and view policies around the interactions that arise within them, making them suitable for looking at policies formed through drastic changes. It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complex systems that emerge from changes in school safety education policies, and examines how complex system processes that emerge from changes in school safety education policies have gone through, resulting in implication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chool safety education policy demonstrates the form of a complex adaptation system and has shown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complex systems at each stage of variation. Second, the process of changing school safety education policies shows the process of a continuous complex system that deviates from equilibrium due to path dependence, passes the critical point through the edge of chaos, and starts through self-organization and co-evolution to form a dissipation structur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energy from outside the system should be continuously accepted for stable settlement and management of school safety education policies, and the expansion of autonomy for unit schools where policies are actually implemented was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