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1890년대 말 호남권 내 목포와 군산의 개항 결정이 당시 동아시아 국제관계와 얼마나 밀접히 연결되어 있는지 살펴보고, 호남권 개항장 설치에 중요한 역할을 맡았던 일본과 영국의 의도가 무엇이었는지에 대하여 외교 사료를 통해 분석하였다. 청일전쟁 이후 청을 한반도에서 몰아낸 일본이 군사적 우위를 경제적 우위로 전환하고자 조선과의 단독 조약을 통해 개항뿐만 아니라 개항장 내 특권까지 확보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당시 한반도 문제를 두고 러시아와의 합의에 이르렀던 일본에 대해 불만을 가졌던 영국은 단독 개항을 요구한 조선의 편에 서서 일본의 요구를 물리치고 조약국 모두 이권을 보장받을 수 있는 방향으로 개항하는 데에 성공하였다. 이는 1870년대와 80년대에 걸쳐 외국과의 교류를 확대한 한국의 외교적 성과인 동시에, 조선 내 이익을 보호하고자 한 영국의 성공적인 외교정책이기도 하였다. 목포와 군산이 개항된 시기가 일본이 한반도 내에서 경제적 우위를 확고히 하던 시기인 만큼, 목포와 군산에 체류하는 외국인 역시 일본인 출신이 압도적이었으며, 이후 일제강점기에 들어서면서 일본으로 향하는 미곡을 반출하는 항구로 변모하게 된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process of the opening of Mokpo and Kunsan, located in the Honam region, in the late 1890s and to see how it was closely related to the international politics of Northeast Asia at that time. Particularly, the discussion focuses on why Japan insisted on opening a new treaty port in the region and why Britain opposed Japan’s request for exclusive rights in the proposed treaty ports. Japan pushed for the opening of a treaty port and exclusive privileges while taking advantage of the withdrawal of Qing China from Korea due to the Sino-Japanese War. Britain, who were unhappy with the Japanese recognition of Russian influence in Korea via the Yamagata-Lobanov Agreement of 1896, supported Korea’s stance on the opening of the port and successfully persuaded Japan to abandon their demand. It was a diplomatic victory for both Korea and Britain. Despite the “open-door principle” maintenance, Japan took a dominant position in Mokpo and Kunsan. It became a starting point for Japan to transform them into the main ports of colonial exploi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