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서거정은 조선 전기 館閣文學의 대표적인 학자이자 문인이다. 서거정은 뛰어난 감식안을 가진 비평가로서 본격 시학을 전개하였으며, 조선 전기 문화 문물을 제작하는 주역이 되었다. 서거정은 用事와 對句의 시학과 함께, 氣像과 時運의 문학의 이론을 전개하였다. 이는 각각 시문 생성의 이론과 시문 해석의 이론으로 되어 중세 시문학 이론의 핵심을 이룬다. 용사의 이론은 선행의 텍스트로부터 새로운 텍스트를 생성하는 이론이다. 대구의 이론은 세계의 존재 원리로서 대대적 사유로부터 기인하는 텍스트를 생성하는 이론이다. 기상의 이론은 시문에 문인 개인의 전인격적 총체가 나타난다는 이론이다. 시운의 이론은 시문에 문인이 처한 시대의 총체가 나타난다는 이론이다. 서거정은 시문과 문물은 도가 저절로 드러나 나타나는 것으로 이해했다. 서거정은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아름다운 시문을 창작하고 찬란한 문화 문물을 제작함으로써 자신의 시대에 도가 구현되었음을 천명하고자 했다.


Seo Geo Jeong[徐居正] was a renowned scholar and writer of the early Joseon period. As an outstanding critic, he developed a full-fledged poetic philosophy. He became a leading figure in the production of the culture of the early Joseon. He developed the theory of citation[用事] and the theory of parallelism[對句]. He presented theories of interpretation of literary works, how to read the nature of the whole personality[Kisang, 氣像] of the author and also how to read the nature of the whole period[Siwoon, 時運]. Theory of citation is the theory that generates new text from the text of antecedents. Theory of parallelism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existence that everything is in pairs. Theory of Kisang is that poetry shows the whole personality of the literary individual. Theory of Siwoon is that poetry shows the entire era of writers. He thought that the Principle[道] appears through poetry and culture. Based on this understanding, he tried to make it clear that the Principle[道] was implemented in his own time by creating beautiful poems and creating brilliant cultural cult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