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2011년에서 2020년까지 발행된 국내 석ㆍ박사학위논문과 학술지를 대상으로 선정기준에 부합된 총 584편을 분석하여 저출산 관련 연구 동향을 밝혔다. 분석 기준은 연구시기 및 발표유형, 연구자 전공, 연구대상, 연구방법(연구유형, 자료 수집 방법, 자료 분석 방법), 연구내용으로 선정하고 빈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저출산 관련 연구물은 2011년이 가장 많았고 학술지 연구의 비중이 높았다. 둘째, 연구자의 전공은 사회복지학과 정책ㆍ행정학에 편중되었다. 셋째, 통계자료 및 패널자료, 문헌자료를 활용한 연구가 인적대상 연구보다 두 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인적대상에서는 기혼자 여성에 대한 연구가 많았고 미혼자 대상 연구는 증가하였다. 넷째, 양적연구가 가장 많았고 질적연구는 미비하였다. 2차 자료 수집 연구와 변인간의 다층적인 관계검증 비중이 높았다. 다섯째, 출산요인과 저출산 현황 및 정책적 대응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다. 본 결과를 통해 저출산 관련 연구의 실태와 동향을 파악함으로써 유아교육ㆍ보육, 가족을 중심으로 후속 연구와 정책 방향 설정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rends in research on a total of 584 theses/dissertations and academic journals on low fertility in Korea for 10 years from 2011 to 2020. The criteria for analysis were selected and analyzed by research details, timing and published type, field of researcher's major, subject of study, research method (research type, data collection method, data analysis method), and research cont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related to low fertility was the largest in 2011, and the proportion of academic journal research was high. Second, the researcher's major was focused on social welfare and policy and administration. Third, research using statistical data, panel data, and literature data was more than twice as high as human research. There were many studies on married women in human subjects, and the number of studies on unmarried people increased. Fourth, quantitative research was the most common and qualitative research was insufficient. The proportion of secondary data collection research and multilayered relationship verification between variables was high. Fifth,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factors of fertility, the current status of low fertility, and policy responses. Through this result, we provided basic data on follow-up research and policy direction, focusing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child care, and family, by identifying the status and trends of low birth rate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