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스트레스와 관련된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영유아교사의 스트레스 연구의 과제와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0년부터 2020까지 10년간 한국연구재단 등재 및 등재후보(181편) 석ㆍ박사학위논문(242편) 총 423편을 연구시기,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 등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2010년 20편의 논문을 시작으로2013년에는 31편, 2020년에는 45편의 연구가 게재되어 점차 증가 추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유아교사 스트레스 중 직무스트레스가 제일 높았고 대인관계, 실습, 진로, 테크노, 안전사고, 취업 스트레스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유아교사 스트레스 관련 대상으로는 보육교사(영아교사, 유아교사)가 높았고 유치원교사, 예비교사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영유아교사스트레스 연구방법으로는 양적연구가 제일 많이 이루어졌고 질적연구, 혼합연구, 문헌연구 순으로 많이 이루어졌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에 따라 영유아교사 스트레스 관련 연구 동향에서 나타난 특징에 근거하여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 보육․교육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영유아교사의 스트레스 관련 연구의 의미를 재발견하고, 교사가 스트레스를 적게 느낄 수있는 방법 모색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analyzes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str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present the tasks and directions for the stress research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423 articles for registration with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181 articles) and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242 articles) for 10 years from 2010 to 2020 were analyzed by research period, research topic, research subject, research method, etc. As a result, first, starting with 20 papers in 2010, 31 studies were published in 2013, and 45 studies were published in 2020, indicating that there is a gradual increase. Second, job stress was the highest among teachers’ stress, followed b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practice, career, techno, safety accidents, and employment stress. Third, childcare teachers (infant teachers,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high in the subject of stress related to early childhood teachers, followed by kindergarten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Fourth, as a method of studying the str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quantitative research was most frequently conducted, followed by qualitative research, mixed research, and literature research.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discussion wa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shown in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str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rediscover the meaning of stress-related studi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hich have a direct impact on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and to find ways for teachers to feel less st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