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변화된 교사의 역할 중에서 놀이지원자에 초점을 두고, 교사의 역할에 대한 이해도와 지원 방안을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참여자는 경남에있는 담임교사 12명이었다. 자료수집은 참여자별 3~5회 개별면담과 2회의 반성적 저널쓰기를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은 놀이지원자로서 교사 역할 이해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코드를 부여하여 정리하여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놀이지원자로서 교사의 역할이 제시되었는데 첫째, 적절한 자료를 제공하는 놀이개입자, 둘째, 공간 활용에 유능한 놀이제공자, 셋째, 상호작용에 적극적인 놀이확장자, 마지막으로, 놀이의 흐름을 즐기는 놀이관찰자였다. 놀이지원자를 지원하는 방안으로 제시된 것은 첫째, 유아를 믿고 지지하기, 둘째, 놀이를 확장시키는 포인트를 파악하고 안내하기, 셋째, 관찰하는 방법을 다각화하기, 마지막으로, 양질의 풍부한 놀이자료 제공하기였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놀이지원자로서 교사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항상 공부하는 태도, 함께 놀이하는 자세, 함께 성장하는 자가 되어야 하는 것을 제안한다.


This study aims to focus on a play supporter among the roles of teachers that changed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understand and support the roles of teacher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2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in Gyeongnam. Individual interviews and journal writing methods were used to collect data. In data collection, the researcher participated in three to five individual interviews and two reflective journal writings per participant. Data analysis was conducted with a focus on understanding the role of the teacher as a play supporter. As a result, the role of the teacher as a play supporter was presented: first, the play intervener who provides appropriate materials; second, the play provider who is competent in using space; third, the play expander who is active in interaction; and lastly, the play observer who enjoys the flow of play. In addition, the following are the methods to support play supporters: (1) trust and support for young children, (2) identifying and guiding points for expanding play, (3) diversifying the method of observation, and (4) providing a wealth of high-quality play materials. In conclusion, to understand the role of a teacher as a play supporter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I propose to study, play, and grow together with young childr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