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먹거리정의는 최근 10년 사이 먹거리와 환경위기, 사회불평등 간의 중첩되고 복합적인 문제를 새롭게 조망하는 담론으로 급부상했다. 먹거리정의 운동가들은 더 확장된 민주주의만이 지금의 기후위기와 사회불평등에 대한 진정한 해법이라고 주장한다. 구체적인 사회운동전략으로 유색인종과 공동체가 처해 있는 불평등의 구조를 드러내고 먹거리체계의 민주적 통제력을 구축하기 위한 제반 사회운동간 동맹을 제시한다. 그러나 인종갈등이 첨예한 미국의 사회적 맥락에서 발전한 먹거리정의운동이 한국사회에서도 그 실천적 유용성이 있는가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된다. 이 연구는 지난 1999년 이래 20여 년간 시민주도의 먹거리운동을 펼쳐온 (사)환경정의 먹거리운동을 사례로 하여 먹거리정의운동의 형성과 전개를 연대기적으로 기술하고, 한국적 맥락에서 형성된 먹거리정의운동의 특성과 의미를 탐구한다. 연구의 시사점으로 먹거리 의제의 사회운동적 잠재력, 먹거리시민의 형성, 그리고 이를 촉진하기 위한 시민사회조직의 과제에 대해 논의한다.


In the last decade, food justice has emerged as a discourse that newly views the overlapping, complex issues between food, environmental crisis, and social inequality. Food Justice activists argue that promoting a stronger democracy is the only real solution to the current climate crisis and social inequality. As a concrete social movement strategy, food justice strengthens alliances between social movements revealing the structure of inequality faced by colored people and their communities and building democratic control of the food system. However, questions are raised about whether the food justice movement, which was developed in the context of the U.S. where racial conflicts are acute, has practical usefulness in Korean society as well. This study chronically describes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food justice movement, which has been led by citizens for more than 20 years since 1999 and explores the meaning and prospects of food justice in Korea. The study discusses the potential of food issues evolving into a social movement, the formation of ‘food citizens’, and the role of civil society organizations in promoting it as implications of the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