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is study is conducted to determine both the exogenous and endogenous motivations for the institutionalization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by interviewing policymakers from East and South Asian countries to examine the motivation for institutionalizing intergovernmental cooperation. To this end, ten experts were recruited and a panel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Delphi method. This study confirms when a crisis is seen as ① serious; ② within a government responsibility to solve; ③ recurrent; ④ internationally common; and ⑤ common solution, the institutionalization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may occur. This can be called the ‘5+1 Condition Model.’ Thus, this study explains the logic of the institutionalization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which is shown in the ‘5+1 Condition Model.’ This study narrows the focus on crises to food crises, a type of crisis that easily motivates a government to pursue institutional cooperation. A food crisis is usually serious, a government responsibility, and recurrent. Thus, a food crisis often meets the ‘5+1 Condition Model.’ By analyzing the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of the APTERR, this study demonstrates how a food crisis pushes governments toward the institutionalization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based on the outlined in the ‘5+1 Condition Model.”’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oviding primary data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research.


본 연구는 정부간 협력을 제도화하는 동기를 살펴보기 위해 시행되었는데, 특히 동아시아 및 남아시아 국가들의 정책 입안자들을 인터뷰함으로써 국제 협력의 제도화에 대한 외생적 및 내생적 동기를 모두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관련 전문가 패널 10명을 선정하고 3차례의 델파이 연구를 실시했다. 본 연구는 ① 심각한 위기로서, ② 정부 책임하에 해결가능하고, ③ 재발되며, ④ 국제적으로 공통적인 위기이자, ⑤ 공통된 해결책이 있는 위기는 제도화된 국제 협력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확인하였다. 이는 ‘5+1 조건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이 ‘5+1 조건 모델’을 도출하여 제도화된 국제 협력에 대한 이론을 설명하고, APTERR의 사례를 중심으로 제도화된 국제협력 과정을 살펴본다. 본 연구는 각국 정부가 제도적 협력 동기를 쉽게 갖게 되는 유형의 위기인 식량위기 문제로 논점을 좁혀 접근하였다. 식량 위기는 대개 심각하고, 정부의 책임이며, 재발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식량 위기는 종종 ‘5+1 조건 모델’을 충족한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이 APTERR의 제도화 과정을 ‘5+1 조건 모델’ 사용하여 각국 정부로 하여금 식량위기에 대하여 제도화된 국제 협력에 이르게 되는 과정을 분석한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이 조건이 갖춰진 위기가 도래하면 제도화된 국제협력이 발생됨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국제협력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의의를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