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학사 교육이 단순히 시대순에 따라 작품을 배열하고 당대의 사회적‧문화적 상황에 대한 고정된 지식을 암기하는 방식으로 접근하는 것을 넘어설 필요가 있다고 보고, 중국인 학습자가 자신의 인식체계 내에서 한국문학사에 대한 나름의 관점을 구성하면서 타문화에 대한 적절한 태도를 형성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본 연구는 현재 중국의 외국어교육에서 요구하는 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한국문학사 교육에 대한 반성과 성찰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중국의 한국어교육 현장의 한국문학사 교육 현황과 기존의 문학사 교육 연구 현황에 대해 검토하였으며, 지식의 성격과 한국문학사 지식 교육의 내용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문학사 지식 교육의 내용을 명제적 지식, 구성적 지식, 반성적 지식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이를 토대로 1920∼30년대 한‧중 현대시의 상호문화적 이해를 위한 한국문학사 교육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explores methods for Chinese learners to form an appropriate attitude towards other cultures by organizing their own perspectives on Korean literary history within their recognition systems. This is done with the belief that the Korean literary history education needs to go beyond arranging works by era. Training complex talents for Chinese foreign language education requires reflection on Korean literature history education, thus, the current status of the subject in China was reviewed in this study. Besides, the contents of Korean modern literature knowledge for Chinese learners were divided into propositional knowledge, compositional knowledge, and reflective knowledge. Methods of Korean literature history education were thus presented to facilitate an intercultural understanding of Korean and Chinese modern poetry in the 1920s and 30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