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헤겔은 프랑스 혁명과 함께 성장하고 발전한 철학자이다. 이 글은『정신현상학』에서 헤겔이 주로 비판적인 관점에서 진단한 공포정치의 기원을 혁명적 이념의 잘못 전개된 내적 논리로서 분석하고자 한다. 헤겔이 보기에 프랑스 혁명이 미완의 혁명으로 머무른 것은 혁명 자체가 내재적으로 함축할 수밖에 없는 반혁명적 요소를 적절히 극복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요소들로는 세계를 유용성의 관점에서만 바라보는계몽의 인간중심주의, 자신의 의지만을 보편의지로 내세우는 개별 의식의완고한 관념론, 정치적 배제를 통해 현실적 보편의지로서 영향력을 발휘하고자 하는 당파적 권력 등이 언급될 수 있다. 이에 좀 더 근본적인 요인으로 이념적으로만 설정될 수 있는 무한한 보편과 다수로 실재하는 유한한개별 간의 존재론적 모순을 빼놓을 수 없다. 이에 따라 헤겔에게 세계사적 사건으로서의 프랑스 혁명의 완결 작업은 구성원 각자 자신의 개별성을 스스로 지양하며 보편의지를 함께 도모할수 있는 구체적 질서 및 제도의 모색으로 이어져야 한다.


Hegel’s philosophy grew up and developed with the French Revolution. This article attempts to analyze the origin of the Terreur, which Hegel diagnosed mainly from a critical point of view in Phenomenology of Spirit, as an wrongly unfolded, internal logic of revolutionary ideal. In Hegel’s view, the French Revolution remained unfinished because it could not adequately overcome the counterrevolutionary elements that the revolution itself immanently implies. As these elements can be mentioned the anthropocentrism of enlightenment that only views the world from the viewpoint of utility, the stubborn idealism of individual consciousness that puts only one’s will as the universal will, and the factional power to exert influence as a real universal will through political exclusion, etc. And as a more fundamental factor should be considered the ontological contradiction between the infinite universal that only ideally can be set up, and the finite individual that exists in form of multiplicity. Accordingly, for Hegel, the completing work of the French Revolution as world-historical affairs must lead to the search for a concrete order and institution in which each member of community sublates her or his own individuality and tries to realize the universal will toget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