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배경 및 목적: 기억저하(memory decline) 등 인지 기능의 변화를 호소하는 노년층이 겪는 대표적인 언어적 어려움을 고유명사 이름대기(proper noun naming)로 설정하고 언어 중재를 적용한 후 중재 명사 이름대기 수행력에 미치는 효과와 비중재 명사 및 표준화검사로의 일반화 효과를 규명하였다. 방법: 주관적으로 기억력 저하를 호소하지만 객관적인 인지 기능에서 정상 범주의 수행을 보이는 만 60세 이상의 노인 26명을 선정하였다. 11명의 중재집단과 15명의 통제집단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고유명사 이름대기 중재는 대상자와 1:1로 1회기 60분 동안 16회기에 걸쳐 이루어졌다. 의미자질분석 중재를 기반으로 총 9단계로 구성되었으며 이름대기 수행을 촉진하기 위하여 시각적 자극, 의미범주, 의미자질 분석, 지리적 위치, 음운 · 철자 단서 등의 요소를 적용하였다. 결과: 유명장소 이름대기 중재 명사의 수행력에 대한 중재 전 · 후 및 집단 간의 상호작용이 유의하였다. 유명장소 이름대기 비중재 명사의 수행력에 대한 중재 전 · 후 및 집단 간의 상호작용이 유의하였다. 중재집단과 통제집단 간 보스턴이름대기검사 점수를 비교한 결과, 표준화 이름대기 검사로의 일반화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의미자질 중재(SFA)가 목표 고유명사의 의미자질 산출을 촉진하고 중재 명사뿐만 아니라 중재 명사와 의미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비중재 명사의 의미 네트워크를 활성화시키는 데 효과적이었다고 볼 수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mantic Feature Analysis (SFA)-plus treatment on landmark naming difficulties of the elderly with subject memory impairment (SMI). Methods: Twenty-six Korean individuals aged 60 or older with SMI participated in this study, eleven participants were in the intervention group and fifteen individuals who matched their age and years of education made up the control group. The landmark naming intervention consisted of a total of 9 steps based on SFA, presenting photo stimuli of famous places in Korean or abroad. The intervention used in this study was performed 1:1 with the subject for 60 minutes per session with 16 sessions. Visual stimulation, semantic categories, and semantic features such as geographic location, were applied to promote the performance of naming. The researcher provided tasks and clues to facilitate activation of the semantic and phonological information of landmark names. Results: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s in the performance of the trained and untrained place proper names among the intervention group. There was no generalization effect of the object naming. Conclusion: The current study suggested that the naming treatment using place names was effective in activating the semantic network, facilitating phonological information output, and enhancing landmark naming abilities in people with subjective memory dec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