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경찰공무원의 징계와 이에 따른 소청인용의 관계를 이론적으로 논하고 실증분석하였다. 소청심사위원회에서 경찰이 다른 공무원보다 더 높은 비율로 징계가 감경되는 것은 경찰의 징계양정이 다른 정부기관에 비해 과중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 연구에서는 경찰 징계 및 소청심사제도를 이론적으로 고찰하는 한편,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경찰과 다른 정부기관간 소청인용의 차이를 실증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경찰의 징계가 다른 정부기관의 징계에 비해서 소청에서 더 많이 인용되고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차이는 대부분 2012년 이전에 형성된 것으로, 경찰의 징계양정 합리화 방침이 실시된 2012년 이후에는 경찰과 다른 기관간의 소청인용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소청인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타 조직과 비교분석하면서 선행연구의 이론적 모형을 발전시켰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경찰공무원들이 가지고 있는 징계불공평 인식을 개선할 수 있는 교육과 홍보, 비위 경찰관에 대한 조사 및 징계절차의 개선 등의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ppeals acceptance of police officers and that of other public officers. If the discipline of police officers is attenuated at a higher rate than that of other public officers in the appeals process, it may be because the police discipline is harsher than that of other government agencies. For this purpose, we theoretically reviewed the police discipline and appeals system and conducted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on the difference in the appeals acceptance between police officers and other public officers. Our results show that police discipline is attenuated more in the appeals process than that of other government agencies. However, most of this difference occurred before 2012,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since 2012 when the police policy on rationalizing disciplinary decisions was implemented.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the research in that it refines a theoretical model of prior research by analyzing factors affecting the appeals acceptance rate of police officers and comparing it with that of other organizations. In addition, based on empirical evidence from this study, we argue for several policy improvements, such as education and public relations that can improve the awareness of disciplinary unfairness held by police offic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