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일제시기 대표적인 국책기업이자 최대의 토지지주였던 東洋拓殖株式會社(이하 동척)의 산림운영 실태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동척의 산림운영이 일제 산림정책과 어떻게 연동되었는지를 시기별로 분석하여 동척의 국책성과 영리성이 산림운영에서 어떻게 발현되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1910~1920년대 동척은 일제의 조림대부제에 편승해서 산림지주로 변모했다. 동척은 국책 호응, 단기 속성, 조림 비용 절감을 위해 신탄림 중심의 천연조림 방식을 채택했다. 동척의 이러한 조림방식과 임야구성은 결국 조선 산림과 임업에 대한 장기적인 전망을 결여한 것이었다. 천연조림으로 산림을 경영하기 위해서는 지역민의 협조가 필수였다. 동척은 지역민과 보호계약을 체결하여 산림보호와 이용을 통제하는 한편, 온정주의 전략을 구사하여 애림사상을 함양하고 지역민의 자발적인 산림보호와 참여를 이끌어내고자 했지만, 쉽지 않았다. 동척은 산림운영에 필요한 인부를 지역민으로 충당했는데, 계약에 명시된 금액보다 낮은 임금을 준다든지, 임금 대신 임산물로 대체하는 경우도 많아 지역민의 불만을 초래했다. 1930년대 동척은 공업화와 전시체제 속에서 산림을 본격적으로 ‘개발’하여 자본을 축적했다. 동척은 일제의 北鮮‘開發’에 협력하면서 함경북도를 중심으로 대규모 벌목사업을 전개하였고, 면양사업에도 투자했다. 전시체제기에는 전력개발, 목재벌채, 광산개발 등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여 만주까지 진출했다. 또한 늘어나는 목재수요에 맞춰 조림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만들어진 국책회사 조선임업개발주식회사에도 대주주로 참여하면서 ‘영리기업 동척’으로서 면모를 확장해 나갔다. 동척의 이러한 행보는 기업으로서의 이미지를 구축하는 작업이었지만, 또 한편으로 일제의 공업화와 전시에 철저하게 순응한 결과였다. 즉 동척은 국책회사로서 그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 나갔을 때 일제의 지원과 특혜를 받으면서 최대한의 영리를 추구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forest operation of the Oriental Development Company(Dongcheok), a representative government-run corporation and the largest landowner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rough this, I would like to look at how the national policy and profitability of Dongcheok appeared in forest management. In the 1910s and 1920s, Dongcheok became a forest landowner using the Japanese loaning for afforestation. Dongcheok adopted frith-centered natural forestation methods to respond to national policies, grow trees in short-term, and reduce the cost of afforestation. This method of afforestation and forest baseball characteristics of Dongcheok lacked long-term prospects for Joseon's forests and forestry. The cooperation of the local people was essential for natural planting. Dongcheok controlled the local people by signing a protection contract with the local people about forest use. In addition, Dongcheok tried to induce voluntary forest protection and participation by local residents, but it was not easy. Dongcheok employed local people as forestry workers. However, Dongcheokoften gave local residents. lower wages than the amount specified in the contract or replaced them with pregnant products instead of wages, causing complaints from local residents. In the 1930s, Dongcheok accumulated capital by "developing" forests in earnest amid industrialization and wartime systems. Dongcheok cooperated with the North Joseon(北鮮) ‘Development’ of Japanese imperialism to carry out large-scale logging projects and also invested in Wool-business. Dongcheok expanded its business area by participating in hydroelectric power plants, timber companies, and mining industries. Dongcheok also participated in the Joseon Forestry Development Company as a major shareholder. Dongcheok's move was to become a commercial enterprise, but on the other hand, it was a result of thorough conformity with industrialization and wartime. In other words, Dongchuk was able to pursue maximum profitability with the support and preferential treatment of Japanese imperialism when it faithfully performed its role as a government-run compa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