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시설 수요추정 방법론으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중력모형의 방법론적 개선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 분석대상은 현재 운영 중인 공공도서관 가운데 경기도 안양시의 도서관을 사례집단으로 설정하였다. 분석 방법은, 중력모형의 주요변수인 거리 및 규모에 대한 일반적인 가정을 검증하고, 동시에 수요 예측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다양한 가정하에 수요를 추정하고 실제 이용실적과 비교하였다. 일반적인 중력모형에서 시설과 거주지간 거리는 수요와 제곱의 반비례한다고 가정하나, 분석 결과 수요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도서관 특성상 영향권이 이미 도보권으로 한정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규모의 경우 일반적인 중력모형에서는 수요와 정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시설의 운영 특성을 반영한 종합지수(가칭 투입요소 종합지수)를 생성하여 중력모형에 적용할 때, 수요 예측력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준거시설 선정시 투입요소 종합지수가 비슷한 수준일수록 중력모형 수요추정 값의 오차율이 작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modify and examine a methodological aspect of the gravity model, which is a dominating demand forecasting model for cultural facilities. Libraries in Anyang, Gyeonggi-do are chosen as a case study group. Forecasted or measured values through the gravity model under various hypothese of the effect of distance and size on demand, are compared with the actual demand. The results provide that distance has no effect on library demand as the impact area is defined within walking distance. However, the size ratio which is commonly used in the gravity model does not perform better than the input composite index which is computed with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facility. Moreover, it is found that more similar in terms of the input composite index for each reference facility, the smaller the error of the gravity model demand estimat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