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2013년 도입된 개별 임원보수 공시제도의 대상이 기존 등기임원에서 2018년 미등기임원으로 확대된 것에 관심을 가지고, 제도 변화의 효과를 검증한다. 구체적으로 성향점수매칭법(Propensity Score Matching)을 이용하여 개별 임원보수 공시를 확대한 기업과 대조기업군을 매칭한 후 이중차분법(Difference-in-Difference)을 통해 개별 임원보수 공시제도의 효과를 평가한다. 개별 임원보수 공시제도가 도입된 2013년부터 2019년까지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1,848 기업-연도와 2018년 이후 미등기임원의 개별 임원보수를 공시한 109 기업-연도 자료를 토대로 실증분석한 결과, 개별 임원보수의 공시 대상 확대는 임원보수의 공시 구체성과 유의한 음(-)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임원보수의 공시 대상이 미등기임원으로 확대되었지만 실질적으로 공시내역에 있어서는 큰 변화가 없고, 오히려 임원보수의 공시 구체성이 감소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임원보수의 공시제도의 변화(등기임원에서 미등기임원으로 확대)의 효과성을 검토함에 따라 보수 관련 규정 및 산출 근거 등을 공시하도록 하는 등 정보공개 수준 강화의 필요성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The executives’ pay information, which disclosures in the annual report starting 2013 fiscal year, has expanded from executive officer to non-executive officer.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executive pay disclosure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and difference-in-difference approach. Our samples consist of firms listed on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KOSPI) from 2013 to 2019. The final sample is 1,848 firm-years and 109 firm-years which disclosure non-executive directors’s pay since 2018. We find that the expansion of individual executive pay disclosure does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pecificity of executive pay disclosure.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details of executive pay disclosure. Although executive pay disclosure is expanding to non-executive officer, but rather, the specificity of executive pay disclosure is decreasing. This study provides the executive pay studies by shedding light on the effect of executive pay disclosure. This study also contributes to practical implications for policy makers that executive pay disclosure related to the description method and the standards of the disclosure form should be supplemented so that information users can fully utilize various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