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원 양성기관의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방법이 현직 초등교원의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한 초점 집단 면담을 통해 초등교원의 전문성을 추출하고이를 지식, 실천, 인성의 세 개 대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각 영역별 소영역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 초등교원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방법이 초등교원 전문성 함양에 도움이 된 정도를 묻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에 재직하고 있는 초등교원 361명이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은교사 전문성 중에서 실천 영역에서 관계형성 및 의사소통, 수업 설계 및 분석, 인성 영역에서 교육관 수립, 교직수행에 대한 성찰을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초등교원 양성기관의 교육과정 중 교육실습은 다른 과정(교직, 전공, 전공심화, 교양)과 비교하여, 지식, 실천, 인성 영역 모두 상대적으로 큰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인식하고있었고, 전공과정과 전공심화과정은 실천영역과 지식영역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반면, 교직과정과교양과정은 인성영역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초등교원 양성기관 교육과정에서 가장많이 활용되고 있는 교수·학습 방법은 강의식 수업이었고, 다음으로 발표 수업이었다. 반면, 초등교원들은 자신의전문성 신장에 가장 큰 도움이 되는 교수·학습 방법을 실험·실습 수업이라고 인식하고 있었고, 그 다음으로 발표수업이 전문성 신장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연구 결과를 근거로 초등교원 양성기관의 교육과정 개선을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education program on teachers'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For the study, survey data of 361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Gyeonggi Province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by employing descriptive analysis, showed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zed that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 instruction design and analysis in the practice field,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philosophy, and reflection are important for promoting teacher professionalism. Additionally, the practicum class had relatively large positive effects in all areas of knowledge, practice, and personality domains compared to other classes (teaching profession, major, major intensive, liberal arts). The in-depth major course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ractical and knowledge domains, while education and liberal arts class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rsonality domain. In term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e teachers reported that lecturing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method and class using presentation was followed. Relatively, other methods such as team projects, discussion were less experienced by the participating teachers. In all four courses, the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practicum class was the most helpful in enhancing professionalism, and they recognized that the presentation class was followed by the practicum clas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were pres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