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종단연구에서 진로성숙도의 성장 유형 잠재계층을 탐색함에 있어 성장혼합모형에 문항반응이론을결합한 종단 문항반응이론 혼합모형을 제안하고 적용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부산교육종단연구(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BELS) 중학교 1학년 패널의 2016년부터 2019년까지 4년 동안의 진로성숙도 변화 유형이 세 가지점수 산출 방식(원점수, 표준점수, 문항반응이론 척도점수)에 따라 잠재성장모형과 잠재계층 분류, 잠재계층 분류의예측 요인에 어떤 차이를 만들어내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세 가지 점수 산출 방식에서 모두 선형모형이 선정되었고잠재계층의 수도 동일하였다. 다만 문항반응이론 척도점수를 이용하였을 때 다른 두 방식의 점수와 달리 잠재계층분류율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모형 적합도가 다소 높게 나타났다. 또한, 잠재계층 분류의 예측 요인을 비교ㆍ분석하였을때, 원점수와 표준점수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던 변수가 문항반응이론 척도점수에서 유의한 변수로 확인되어 점수방식별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예를 들어 교사관계는 문항반응이론 척도점수를 사용하였을 때만 유의한예측 변수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실제로 어떻게 이용할 것인지에 대하여 제안하고, 주의점에대해서도 살펴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nd apply a longitudinal item response theory mixture model, as a combination of an item response theory model and a growth mixture model, usable when exploring different latent classes of career maturity growth trajectories. Data from the Busan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was utilized for this study. This data, which was collected from 2016 through 2019, was scored using three different methods to analyze middle school student responses on the career maturity scale. This resulted in a linear model for all three scoring types, with the same number of latent classes. However, when item response theory scale scores were used, different results were obtained for the classification rates of latent classes, and the model fit was better, unlike the other two types of scores. In addition, when predictors of latent classes were analyzed and compared, some of the significant predictors for item response theory scale scores were not significant for raw scores and standard scores, indicating a distinct difference by score typ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with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