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 팬데믹 상황 속에서 비대면 성악 수업에 참여한 대학 학습자를 대상으로 내러티브 탐구를 실행하였다. 방법 연구를 위해 2021년 1월부터 5월까지 총 5개월 간 서울지역 4개 대학의 16명을 연구 참여자로 섭외하여 내러티브 탐구 절차에 따라 2차에 걸쳐 심층면담을 수행하였다. 1차 면담 이후 학습자의 수업 경험을 일반적인 대학 수업 경험과의 비교하고 성악 수업에서의 특징으로 정리하였다. 2차 면담에서는 독특한 경험의 의미를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결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들은 수업에 적절한 공간을 찾지 못해 어려움을 겪었고, 이는 효과적인 수업 참여를 방해하고 있었다. 둘째, 비대면 수업의 도구들이 성악 수업의 특성에 맞지 않아 수업의 진행이 끊어지는 경험을 했다. 셋째, 입체적이고다양한 측면으로 전개되어야 하는 성악 수업이 단순히 교수자가 강의하고, 학습자가 이해하는 형태로 매우 단순해졌다. 넷째, 원격학습과 비대면 수업에서 제기되었던 여러 의사소통의 문제들이 그대로 재현되고 있었다. 다섯째, 비대면 수업에서의 학습에 대한열정이나 몰입이 줄어드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비대면 수업 연구에서 소외되어있는 예체능 실기 학습자들을 위한 후속 연구 및 효과적인 정책이 이루어지기를기대한다


Objectives This study focuses on university students who took vocal classes through non-tact learning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a narrative exploration. Methods For the study, 16 students from four different universities were recruited and interviewed.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tudents had a hard time finding appropriate places for the lectures, and this hindered the efficiency and attendance of classes. Second, because tools for non-tact learning are not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vocal classes, the pacing of the classes were frequently ruined. Third, vocal classes that should be multi-dimensional and cover multiple aspects became an overly simple process of the professor lecturing and the student understanding. Fourth, many of the problems in communication caused by distance learning and non-tact learning were reproduced. Fifth, students experienced a decrease in their immersion and passion for learning as a result of non-tact learning. Conclusion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lead to follow-up research and the creation of more effective policies for such students of the arts who are alienated as a result of non-tact lea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