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관람 경험과 관련된 인스타그램 해시태그 기록에서 ‘공존감’과 ‘공동의 장소’에 대해 주목하고, 뉴욕 소재 미술관의 인스타그램 해시태그를 비교 분석하며 미술관 마다의 사회적 현존감적 특성에 대해 모색했다. 또한 미술관 공식 인스타그램에서 관람 경험에 대한 게시물의 활용 사례도 살펴보았다. 해시태그 분석 결과에서 메트로폴리탄미술관과 솔로몬 R. 구겐하임미술관의 경우, 뉴욕의 미술관이라는 물리적인 장소와 지역 중심의 기록으로써 공존감을 형성한 반면, 뉴욕현대미술관의 경우, 현대미술 중심의 해시태그 기록으로써 상호간의 연결을 위한 감각을 형성하고 있었다. 공동의 장소보다 예술에 대해 비중을 보인 뉴욕현대미술관의 사례는 소장품 및 기획, 미술 행사와 연관된 것으로 판단된다. 미술관과 관람객이 인스타그램에서 관람 경험을 기록 및 공유할 때에는 미술관의 장소에 함께 있는 것과 같은 감각으로써 상호간의 공존감을 형성하는 것이다. 한편 본 연구의 빅 데이터 분석에서 작품 감상 및 미적 경험에 대한 결과가 상위에 없는 것은 시각 중심의 인스타그램에서 작품 정보 확산과 상호교류에 창의적인 시도가 요구되는 것이다. 앞으로 미술관에서는 미술관의 콘텐츠 확산 및 탐색을 위해 본 연구 사례 분석의 사회적 현존감적 특성을 참고하고 관람객의 기록 및 반응을 분석하며 미적 경험에 대한 참여를 이어가야 할 것이다.


This study focuses on co-presence and co-location in Instagram hashtag records related to viewing experience, analyzed and compared big data of Instagram hashtag of museums in New York, and studied characteristics of social presence. Also it looked at the use of postings about the viewing experience on the museum's official Instagram. In the case of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and the Solomon R. Guggenheim Museum, it was creating a sense of mutual co-presence, with records a hashtag centered on exhibition place and local information. In the case of the Museum of Modern Art, it was creating a sense for mutual connection, with records a hashtag centered on modern art. The case of the Museum of Modern Art, which has shown greater importance to art than experience of physical place, is deduced to be related to collections, planning and art events. When Museum and visitors record and share their viewing experiences on Instagram, they create a sense of mutual co-presence as if they form a sense of being together at the place of museum. And the fact that there are no results about appreciation of works and aesthetic experience at the top on the big data analysis of this study, requires creative attempts to spread of information and interact of works in the visually-centered Instagram. Afterwards museums should refer to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presence of the case analysis of this study, analyze the records and reactions of visitors, and continue to encourage participating in aesthetic experiences for diffusion and exploration of the museum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