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이주민 집중 거주 지역 주민의 다문화 수용성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주민 비중이 높은 거주지역이라는 공간적 특성이 다문화 수용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수도권의 이주민 비중이 높은 3개 지역을 선정하고, 15명의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하여 수집한 자료를 Giorgi가 제안한 현상학적 연구 방법의 4단계 분석 틀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이주민 비중이 높은 지역적 특성이 지역 주민의 다문화 수용성 형성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며, 긍정적 영향과 부정적 영향을 모두 미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인식개선 교육 및 프로그램 확대, 이주민에 대한 미디어의 보도 행태 개선, 내·외국인 주민 간 효과적인 갈등 개입방안, 지역 커뮤니티 활동에 이주민 참여 독려, 도시개발에 대한 신중한 정책 결정 등을 다문화 수용성 제고를 위한 실천적 방안으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지역 주민 15명을 대상으로 한 심층 면접조사라는 점에서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 한계가 있으므로, 추후 개인의 사회경제적 특성을 반영한 양적 조사를 통해 여러 하위집단별 다문화 수용성 실태를 분석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analyzes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Koreans in residential areas where foreigners are concentrated, and the effect of spatial characteristics of such areas on the formation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 total of three regions in the metropolitan area were selected. The data collected via indepth interviews with 15 Koreans were analyzed using the four-step analysis framework of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proposed by Giorgi. Results revealed that regional characteristics with a high proportion of foreigners act 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formation of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f Koreans and can hav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Expanding education and prog rams to improve mu lticu lt u ra lawareness, improving media reporting methods for foreigners, preparing effective conflict intervention measures between domestic and foreign residents, encouraging foreign residents to participate in local community activities, and making careful policy decisions for urban development, and so on were proposed as a practical plan for enhancing multicultural acceptance. Since the study was based on data from in-depth interviews with 15 local residents, there is a limitation in generalizing the results. A follow-up study should analyze the status of multicultural acceptance by various subgroups through a quantitative survey reflecting individual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