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9세기는 다양한 문예 양식들의 戰場이었던 만큼, 이것을 향유한 방식 역시 다양하였다. 본고는 복잡하게 얽힌 19세기의 문학과 이를 향유한 사람들의 관계 속에서 판소리가 악부로 재현되었던 지점에 주목하였다. 이에 필자는 19세기 중엽 판소리의 면모를 살필 수 있는 작품 중, 「관우희」와 「관극팔령」, 그리고 「광한루악부」에 주목해 당대 지식인의 감상태도 및 향유 양상을 살폈다. 그 논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9세기 조선의 문인들은 민간의 문예를 수용한 장르인 판소리와 창극을 조선 특유의 정서를 담아 발전한 악부시의 형태로 재향유하였다. 이런 경향은 19세기 중엽에 집중되어 나타난 현상이고, 판소리의 성장구도 속에서 상층지식인들의 창극 향유가 관여한 측면이 있었다. 둘째, 상층지식인들의 악부시로의 창극 수용은 판소리 향유의 다양한 방식 중 하나인데, 이들은 왜 굳이 민간의 문예양식을 한문학적 틀로 향유했는지이다. 이는 판소리의 다른 양식으로서 악부가 창작됨에 따라 민간문예의 다른 형식이 출현했다는 의의를 지니는 동시에, 민간의 자유로운 문예양식을 그들의 체제와 틀 속에 다시 가뒀다는 한계도 지닌다. 셋째, 「관우희」, 「관극팔령」, 「광한루악부」의 당대 지식인의 향유방식을 살폈을 때, 작자들은 다른 사람의 작품을 읽고 감상하며, 자신의 작품 집필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기도 했고, 이 작품들을 각자의 감성으로 향유하였다. 즉 19세기 지식인들에게 판소리가 상층사회에서 새로운 정서적 감흥과 해방을 가져오자 그 자체를 자기식으로 재현하고자 하는 적극적 향유로 발전하기도 했다.


As the 19th century was a battlefield for various literary styles, the way they enjoyed them was also complicated. This paper focused on the point where pansori was re-enjoyed as an ensem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licated literature of the 19th century and the people who enjoyed it. Therefore, among the works that can examine the aspects of pansori in the mid-19th century, the author paid attention to Gwanwoohee, Gwangeugpallyeong, and Gwanghalluakbu, and examined the perception and enjoyment of the intellectuals of the time. The argument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writers of Joseon in the 19th century re-enjoyed pansori and changgeuk, genres that embraced folk literature, in the form of musical instruments developed with the unique sentiments of Joseon. This tendency was concentrated in the mid-19th century, and in the growth structure of pansori, the upper-class intellectuals were involved in the enjoyment of changgeuk. Second, the upper-class intellectuals' acceptance of changgeuk as Akbushiro is one of the various ways to enjoy pansori. This has the significance that other forms of folk literature appeared as a result of the creation of the musical part as another form of pansori, and at the same time, it also has the limit of enclosing the free civil arts style within their system and framework. Third, when examining the way intellectuals enjoyed at the time in Gwanwoohee, Gwangeugpallyeong, and Gwanghalluakbu, the authors read and appreciate other people’s works, and were also directly influenced by their own writing. They were enjoyed with their own emotions. In other words, when pansori brought new emotional excitement and liberation to the intellectuals of the 19th century in the upper society, it developed into an active enjoyment that sought to reproduce itself in its own w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