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아시아계 이주민이 중심인 한국의 다문화사회를 반영하여 다문화동화로서의 아시아 전래동화집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기존의 다문화동화가 아시아계 이주민과 다문화가정의 갈등을 주요 스토리로 하였다면, 이 글에서는 우리 사회로 이주한 다양한 사람들의 모국 문화, 가치관에 대한 소개와 이해가 진정한 다문화동화라 규정하며 다문화동화로서의 아시아 전래동화집의 개발과 구체적 기획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재 출판되고 있는 세계 전래동화집의 현황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 아시아 전래동화의 개발이 충분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폭넓은 자료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아시아 전래동화는 양적인 문제뿐 아니라 제한된 작품과 동일한 작품의 답습이라는 질적 한계가 있었다. 그래서 아시아 전래동화집의 개발을 위해 약 3년 동안 진행한 이주민 구술 설화 조사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기획 방향을 모색하였다. 우선, 가장 시급한 것이 전래동화의 초석이 될 아시아의 설화의수집이며, 이를 통해 작품 선정의 기준을 마련하고 작품의 다양화를 모색해야 한다. 그리고 흥미나 교훈 중심의 전래동화가 아닌 문화 중심의 아시아 전래동화집을 제안하였다. ‘가치문화ㆍ 자연문화ㆍ생활문화ㆍ역사문화’와 같은 문화 중심의 아시아 전래동화집의 방향을 제시한 후 이 연구에서 중국 설화 <니엔 괴물과 설날 풍속 유래>와 몽골 설화 <낙타의 뿔이 없어진 유래>를 통해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하였다. 문화 중심의 아시아 전래동화집은 통합과 화합이라는 주제를 전면으로 내세우는 다문화동화보다 매력적이고 흥미로운 서사로 아동들에게 진정한 다문화교육과 상호문화교육을 실천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a direction of the collections of classic Asian fairy tales as multicultural children’s stories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South Korea’s multicultural society mostly populated by Asian immigrants. In conventional multicultural stories, a conflict between Asian immigrants and multicultural families was the main was a common theme. However, this study concludes that multicultural children’s stories should introduce different culture and values based on their correct understanding and proposes specific plans to develop classic Asian fairy tale collections. For this, this paper analyzed current collections of the world’s classic fairy tales and realized that classic Asian fairy tales haven’t been properly written. In particular, in addition to a quantitative issue, same and limited stories have been read to children continuously while there hasn’t been a comprehensive data survey. To develop classic Asian fairy tale collection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specific direction based on the research on immigrants’ oral tales, which has been conducted for about 3 years.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First of all, it is most urgent to diversify stories by collecting Asian fairy tales. This study also proposes culture-centered fairy tales, not conventional theme or lesson-focused stories. In other words, this paper proposes value culture, nature culture, living culture, and history culture Asian fairy tale collections. So in this study, specific cases were presented through Chinese tales “Nien Monsters and The Origin of New Year's Day customs” and Mongolian tales “The Origin of Camel's Horns”. Culture-centered collection of traditional Asian fairy tales is more attractive and interesting than multicultural fairy tales that put the theme of unity and harmony at the forefront. Therefore, Asian traditional fairy tales will practice true multicultural education and mutual culture for childr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