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영남의 관료이자 문인인 木齋 洪汝河(1621-1678)의 교유시를 중심으로 그의 교유 양상을 살피고자 하였다. 일생동안 많은 인물들과 교유하였는데 그 중 관료 문인들과 향리 사족들과의 교유시를 중심으로 고찰하였으며, 이를 통해 17세기 중·후반 목재와 동시대에 활동한 인물들을 드러내고 정치적으로, 지역적으로 당면한 현실과 관련하여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집중하였다. 이는 목재의 삶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그의 작품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게 되리라 생각된다. 목재는 문과에 급제해 정계에 진출했지만 당시 정계는 서인과의 정쟁이 계속되고 있었으며, 남인에 있던 그는 외직을 거치며 끝내 유배를 경험하였다. 그 과정에서 부침을 겪는 동료들과 위로의 마음을 전하고 동료들을 통해 자신도 위로받으며 현직 관료들과 꾸준히 관계를 맺으면서 현실참여의 의지를 보였다. 또한 지역에서 유력한 가문들과 인맥을 형성하고 있었는데, 이는 스스로 만들 수 있었던 것이 아니라 그가 문과에 급제한 인물이었고, 선대로부터 내려온 교유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다. 특히 부친인 홍호의 류성룡-정경세로 이어지는 학파적 사승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으며 목재의 교유에도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그는 향리 사족들과 폭넓게 교유하면서 퇴계학 전수라는 큰 목표에 함께 활동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목재의 한시 속 교유는 시의 창작 시기, 길지 않은 생애와 열악한 시대적 상황 때문인지 교유 범위는 그렇게 다채롭다고 할 수 없다. 주로 영남지역의 사족들이라는 사실은 그의 교유관계에도 나름의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는 당시의 정치 상황과 사회현실이 긴밀히 관여한 결과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외연적 사실도 그냥 넘기기에는 어려운 점이지만 목재가 교유한 인물들이 정치적, 사회적으로 위상이 있는 인물들이며, 당색이나 학파적 사승을 뛰어넘어 교유한 사실 또한 분명하다. 소략하나마 이 글은 목재와 동시대 활동한 사족들과의 관계를 일정 부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목재의 삶을 이해하는 밑거름이 되었다는 점에 의의를 둘 수 있다.


This paper examines Hong Yeo-ha (1621-1678) with art name of Mokjae (lit. Wood Altar) (1621-1678) as a government official from the Yeongnam Region and literary man to explore how he socialized with official-literati and local-government official-noblemen through his socialization poems. This aims to disclose the contemporary personnel who were active with Mokjae in the middle and second half of the 17th century and to define the political and regional reality surrounding the times of Mokjae so as to help understand not only the life of Mokjae but his works. Mokjae passed the civil examination and entered politics, but the political world at that time continued to see political strifes with Seoin faction, and Mokjae, who was in the Namin faction, eventually ended up being exiled after being assigned to a local post. He conveyed his feelings of consolation with his colleagues suffering ups and downs, got himself comfort through his colleagues, and showed a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reality by consistently establishing relationships with incumbent officials. He also established connections with influential households in the region, thanks to having passed the civil examination, as well as socialization achievements from his forefathers. In particular, Mokjae could not be free from the private academic inheritance influence handed down to Ryu Seong-ryong to Jeong Gyeong-se from his father Hong Ho, and this greatly influenced his socialization power. He joined efforts to promote the great goal of Toegyehak School transfer while having extensive fellowships with local official-noblemen. In conclusion, Mokjae's socialization efforts shown in his Sino-Korean poems are not so broad and colorful probably due to his poetry composition times, his short life and the turbulent circumstances of the times. The fact that Mokjae was a nobleman from the Yeongnam Region is also deemed to have limited his socialization efforts. This limitation is believed to have resulted from the great impact of political situations and social reality of the times. Although these external factors cannot be belittled, it is also clear that the people Mokjae socialized with were political and social celebrities, and that he pursued socialization beyond the factional bias or private academic influence. This paper disclosed the relationships between Mokjae and his contemporary noblemen to a certain degree and helped better understand the life of Mokja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