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아동의 미디어 사용 유형별 언어와 집행기능발달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 11차년도 자료 중 초등학교 4학년 아동 1,367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아동의 미디어 사용 시간(분/1일)과 미디어 목적별 사용 정도(Likert 4점 척도)를 지표로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한 결과, 아동의 미디어 사용 유형은 ‘전반적고사용유형’, ‘오락위주고사용유형’, ‘학업외저사용유형’, ‘전반적저사용유형’으로 나타났다. 성별을 통제한 뒤, 각 유형별 언어와 집행기능발달에서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학업외저사용유형은 오락위주고사용유형이나 전반적고사용유형보다 언어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오락위주고사용유형과 전반적고사용유형은 학업외저사용유형이나 전반적저사용유형보다 비속어를 많이 사용하였으며 집행기능에서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이를 토대로 향후 아동의 미디어 사용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children’s media use profiles and their characteristics related to linguistic ability and executive functions, using data from the eleventh wave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The sample consisted of 1,367 forth-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Latent profile analyses exploring media use among children identified four profiles: “overall high use type”, “entertainment-oriented high use type”, “academic-oriented low use type”, and “overall low use type”. After controlling for gender, the one-way analysis of variance revealed differences in linguistic ability and executive functions across the four profiles. The children with the “entertainment-oriented high use” and “overall high use” profiles were found to use more slang than the “academic-oriented low use” or “overall low use” profiles. Those with the “academic-oriented low use” profile showed higher communication abilities than those with the “entertainment-oriented high use” and “overall high use” profiles. Further “entertainment-oriented high use” and “overall high use” profiles experienced more difficulties with executive function than “academic-oriented low use” and “overall low use” profiles. Hens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possibilities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