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퇴계가 구상한 건축물 <도산서당>의 현실공간과 퇴계의 언설로 구축된 <도산십이곡>과 <성학십도>라는 공간의 구조는 흥미롭게도 합치하고 있다. 즉 도산서당은 건축공간으로써 전학·후묘 구조를 갖추고 있다. 도산십이곡은 전6곡 ‘언지(言志)’와 후6곡 ‘언학(言學)’의 구조, 성학십도는 전5도 ‘지(志)’와 후5도 ‘학(學)’의 구조로 되어 있다. 도산십이곡과 성학십도도 퇴계라고 하는 사상가의 지성 내에 존재했던 공간적인 배치라고 본다. 이 논문에서 논의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퇴계가 구상한 건축물 <도산서당>의 현실공간과 퇴계의 언설로 구축된 <도산십이곡>과 <성학십도>라는 공간의 구조는 흥미롭게도 합치하고 있다. 즉 도산서당은 건축공간으로써 전학·후묘 구조를 갖추고 있다. 도산십이곡은 전6곡 ‘언지(言志)’와 후6곡 ‘언학(言學)’의 구조, 성학십도는 전5도 ‘지(志)’와 후5도 ‘학(學)’의 구조로 되어 있다. 도산십이곡과 성학십도도 퇴계라고 하는 사상가의 지성 내에 존재했던 공간적인 배치라고 본다. 위에서 논의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산서당, 도산십이곡, 성학십도는 어떤 지향점을 정하고 부지런히 공부하는 일관된 형식으로 되어있다. 즉 이 구조는 지(志. agenda)를 정하고 구체적 학(學. action plan)을 제시하는 구조로 일관한다. 퇴계는 부지런히 공부하는 인간상을 제시하였으며, 그 공부론의 근저에는 경건함[敬]이 자리해 있다. 둘째, <도산서당>, <도산십이곡>, <성학십도>의 셋은 퇴계가 중년이후 그의 사상이 완숙해지면서 그려낸 공간론이다. 다시 말해서 현실공간에서는 <도산서당>이었고, 언어-언설공간에서는 <도산십이곡>과 <성학십도>였다. 그것은 분리된 것이 아니고 퇴계의 인지적인 심층 의식 속에 자리해 있던 인지적 공간 설계도였다. 셋째, 성현이란 초월적인 존재가 아니고 퇴계의 일상 속에 명확히 내재되어 학인(學人)이 닮아가야 할 대상이었다. 학인들이 성현을 닮아가기 위해 공부하는 형식 안에 <도산서당>이 들어와 있었고, <도산십이곡>에서는 고인의 예던 길이 일상적 삶의 실천 속에서 드러나 있으므로 그것을 각자 내면화할 것을 제시하고 있다. <성학십도>도 마찬가지로 성현이란 존재는 초월적이 아니고 내재적인 것이었다. 비유하자면 바깥의 하나님이 아니라 내 안에 있는 하나님이었다. 그래서 일상 속에서 내가 늘 성현을 바라보고 닮아가는 공부가 가능했다. 넷째, 유학의 기본은 수기치인(修己治人)이다. 이 관점에서 <도산서당>, <도산십이곡>, <성학십도>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셋(<도산서당>, <도산십이곡>, <성학십도>)은 퇴계라는 한 인간의 생각 안에서 구상・기획・설계되고, 제작・생산・산출된 유학의 이상적 구현이었다. 물론 퇴계의 사유형식 안에는 현재만이 있는 것이 아니다. 과거도 미래도 서로 연결되어 공존한다. 퇴계는 현재적 시점에서 과거의 성현으로, 내가 성현을 닮아가는 미래로 넘나드는 공부를 지향한다. 수신제가치국평천하(修身齊家治國平天下)와 격물치지성의정심(格物致知誠意正心)이라는 유학적 공부론은 성현의 말씀을 배우고 실현하는 시간적인 노력(修·齊·治·平)과 그 구체적 공간(身·家·國·天下)을 기반으로 한다. <도산서당>, <도산십이곡>, <성학십도>는, 아래 [그림 ](퇴계 이황의 현실·언설 공간의 인지심리 구조)처럼, 수기치인의 일관된 유학적 논리구조 속에서 구축되었다고 추론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ognitive correlation of the academic structure and the orientation of Dosanseodang, Dosansibigok and Seonghaksipdo. Toegye's direction and academic structure of Dosanseodang, Dosansibigok, and Seonghaksipdo, which Toegye had calculated from middle age to the end of the year, are cognitively correlated with Toegye's own spatial theory. First, Dosan Seodang, Dosansibigok, and Seonghak Sipdo have a consistent format in which you set a certain direction and study diligently. In other words, this structure is a consistent structure that sets the agenda and presents a specific action plan. Toegye presented the human image of diligently studying. There is godliness at the root of this theory of study. Second, Dosanseodang, Dosansibigok, and Seonghaksipdo are spatial theories drawn by Toegyeung as his thoughts became mature after middle age. In other words, Dosan Seodang was shown in the real space, and Dosansibigok and Seonghaksipdo were shown in the Unseol space. These were not separate, but space plans that were located in Toegye's cognitive deep consciousness. Third, Seonghyun was not a transcendental entity, but clearly embedded in Toegye's daily life, and was an object that students should resemble. Dosanseodang was built into the format where students study to resemble Sunghyun. In Dosansibigok, since the path that people used to practice in the past is revealed in the practice of everyday life, it is suggested to internalize it individually. Likewise in Seonghaksipdo, great humans are not transcendental, but implicit. In an analogy, it is not God outside, but God within me. So, in my daily life, I was able to study to see and resemble great humans all the time. Fourth, the basics of studying abroad are maintaining my body properly and managing others ideally. 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necessary to look at Dosanseodang, Dosansibigok, and Seonghaksipdo. These three were conceived, planned, designed, produced, produced, and produced within the idea of Toegye, an ideal realization of studying abroad. Of course, there is not only the present in Toegye's death type. The past and the future are connected and coexist. Toegye aims to study from the present point of view to the ideal human of the past and to the future where I resemble the ideal hum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