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인공지능은 오늘날 사회의 혁신을 이끌고 있는 기술이며, 인류의 미래를 바꿀 것으로 기대되는 기술이다. 하지만 인공지능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에 반해, 그 위험성에 대한 논의는 대한민국에서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유럽의 경우, 여러 안보화 행위자들의 발화를 시작으로 인공지능의 위험성에 대한 대중(청중)들의 공감대가 이루어졌으며, 이를 통해 유럽연합 차원에서 안보화를 위한 여러 제도적 조치가 이루어졌다. 이 연구는 안보화 이론을 바탕으로 유럽의 사례 분석을 통해 “인공지능 위협에 대해서 우리는 어떻게 대비해 나아가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답을 찾고자 한다. 2014년부터 미국과 유럽의 여러 학자 및 유명인사들이 미래의 강인공지능 및 초인공지능에 대한 경고를 해왔다. 이러한 이들의 경고는 유럽 내 언론 기사를 통해서 안보 담론으로 형성이 되었는데, 머신러닝 기술의 토픽모델링을 활용해 이 기사들을 분석한 결과 두 개의 토픽으로 분류가 되었다. 첫 번째 토픽은 오늘날 활발히 사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약인공지능 관련 “노동 시장에서 인공지능의 인간 대체”이며, 두 번째 토픽은 “인공지능의 군사적 활용과 미래의 위험성”으로 강인공지능 및 초인공지능 관련 내용을 포함한다. 기능적 행위자인 언론을 통해 구체화된 담론은 유럽 내 청중의 여론과 유럽연합 차원의 정책적 조치들과 상호작용하며 발전되고 있다. 유럽연합은 오늘날 시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약인공지능 관련 문제의 방지에 초점을 맞추는 동시에 미래 강인공지능과 초인공지능의 등장에 대비한 준비도 병행하고 있다. 이러한 유럽의 사례를 통해 우리 사회에서도 인공지능 관련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논의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Today, the technology of artificial intelligence(AI) is leading changes in our society and is expected to transform the future of humanity. However, in comparison with the rosy expectation of AI, too less debate or discourse has taken place in South Korea. In the case of Europe, beginning with the speech act of various securitizing actors, the audience in Europe could form a social consensus about the threat and risks from AI. Also, the European Union(EU) has executed several measures in a securitizing move. By conducting a case study of Europe with the securitization theory, this article tries to answer the question: "How should we prepare for the threat of AI?" Since 2014, many scholars, as well as celebrities in the U.S. and Europe, have warned about the strong AI and the super AI. The warnings have delivered through news articles in Europe and led to the forming of the security discourse. After analyzing the news articles with the topic modelling based on machine learning technologies, the articles in Europe are sorted into two topics. One is about the weak AI, which could be titled as "human's replacement with  AI in the market" and the other is could be named as "the use of AI in military and risks in the future" including issues of the strong and super AI. Specified through functional actors, news media, the discourse has developed by interaction with the audience and policy moves in the EU. The EU has focused on preventing related issues the weak AI in today's market and has prepared for the future of the strong and super AI in parallel. Hopefully, discourse for preventing AI-related issues should proceed in our society as Europe is doing.